[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

 1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1
 2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2
 3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3
 4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4
 5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5
 6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6
 7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7
 8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8
 9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이론] 백석 시 비유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백석 시 비유의 특징

Ⅰ. 서론

Ⅱ. 백석 시 비유의 특징

1.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근접성

2. 추상적인 보조관념

3. 토속적 정취가 물씬 풍기는 사물들의 사용

4. 동물을 이용한 비유

5. 수수께끼 같은 은유를 사용

6.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한 비유

7. 일상어 같은 직유의 사용

Ⅲ. 결론
본문내용
백석 시 비유의 특징

Ⅰ. 서론

시인은 현실을 직접 보지 않고 말을 통해 본다. 시인은 말을 통해 정보보다는 사물의 맛과 느낌을 전달하려 하고, 그렇기에 시적 언어는 표현하고자하는 맛과 느낌을 살리기 위해 특별히 선택되며 조직화된다. 시어가 시 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중요하게 쓰이는 시적 기법 중 하나가 비유이다. 사물을 직접 설명하지 않고 빗대어 설명한다는 ‘비유’의 정의는 그 자체로 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백석 시의 표현은 동시대 시인의 시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여타의 현대시에서 볼 수 있는 세련된 비유에 비해 백석 시의 비유적 이미지는 매우 평범하고 소박하다. 그의 시에 쓰인 비유들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거리도 짧고, 그 자체로 참신하거나 기발한 느낌을 주지는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가 상투적이거나 뻔하지 않은 것은 이러한 비유가 시의 전체적 맥락 상 의미 구조를 탄탄하게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백석 시만의 독특한 비유법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가까운 거리, 추상적인 보조관념, 토속적인 비유, 동물을 이용한 비유, 수수께끼 같은 은유, 감각적인 비유, 일상어 같은 직유 등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백석시 비유의 특징 중 전술한 7가지 사항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Ⅱ. 백석 시 비유의 특징

1.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근접성

시를 읽을 때 많은 독자들은 전혀 엉뚱한 것에서 유사점을 찾아내 일상적 사물을 비유할 때 시인의 기발하고 날카로운 감각에 찬사를 보내고 문학적 재미를 느낀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뻔하지 않으면서도 많이 쓰이지 않은 비유를 더 참신하고 문학적인 것으로 생각하며 이것은 문학을 창작하는 이에게 빈번히 요구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원관념과 비슷한 것을 보조관념으로 설정하는 백석 시의 비유는 상당히 평범하고 소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묵은 초가지붕에 박이
또 하나 달같이 하이얗게 빛난다
-「흰밤」일부 -

해빛이 초롱불같이 희맑은데
-「함남도안」일부 -

‘흰밤’과 ‘함남도안’에 보이는 비유는 보조관념을 원관념과 겉모양이 유사한 것으로 설정했다. ‘박’과 ‘달’은 둥글고 희며 높은 곳에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모습을 띄고 있으며, 이 둘은 관용적으로도 원관념과 보조관념 또는, 보조관념과 원관념으로 자주 쓰이는 것들이다. ‘해빛’과 ‘초롱불’도 둘 다 실제로 빛을 내는 것으로 문학적인 의미에서 가까운 사물이 아니라 실질적인 유사한 기능과 특징을 지닌다.

안개 같은 비가 나리는 속에
-「안동」일부 -

돗바늘 같은 털
-「북신」일부 -

실 같은 봄비
-「국수」일부 -

위의 세 가지 비유도 마찬가지이다. ‘안개’와 ‘비’는 둘 다 기상현상이며 어두운 날씨에 나타나는 것들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며 ‘바늘’과 ‘털’은 가늘고 뾰족한 것이라는 점이 유사하다. ‘실’과 ‘봄비’도 선 같은 모양을 가졌다는 점이 같다.
백석 시에서 이렇게 유사한 영역을 사물들로 원관념을 비유하고 있는 것은 기발하고 참신한 느낌은 다소 떨어지지만 시 전체의 이미지를 살리는 데에는 상당한 기여를 한다. 위의 예에서 ‘안개 같은 비 나리는 속에’라고 표현하는 것은 원관념인 비와 보조관념인 안개의 이미지가 중첩됨으로써 흐리고 자욱하며 스산한 느낌이 더욱 강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백석 시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기능과 모양 등이 비슷한 시어로 설정됨으로써 원관념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정서와 의미가 풍부하게 전달되고 있다.
참고문헌
고형진, 「지용시와 백석시의 이미지 비교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002.
최명표, 「백석 시의 수사적 책략」, 한국언어문학, 2005.
고형진 엮음, 『정본백석시집』, 문학동네, 2007.
정수연, 「수수께끼와 백석의 시」, 어문논집,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