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

 1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
 2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2
 3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3
 4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4
 5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5
 6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6
 7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7
 8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8
 9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9
 10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0
 11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1
 12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2
 13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3
 14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4
 15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5
 16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6
 17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7
 18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화] 중국 유가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가사상
1) 儒의 의미
2) 유가사상의 탄생 배경
3) 개괄적인 설명
4) 유가와 유교의 차이

2. 공자사상
1) 공자(孔子)와 유가학설 창립
2) 공자의 주요 사상
3) 공자에 대한 평가

3. 맹자사상
1) 맹자의 생애
2) 맹자의 사상
3) 책, 맹자(孟子)7편

4. 순자사상
1) 순자의 생애
2) 순자의 사상적 배경과 의의
3) 순자의 사상

5.유가, 법가, 묵가의 정치사상 비교
1) 유가
2) 법가
3) 묵가

6. 유가사상이 우리나라에 미친 영향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유가사상

1) 儒의 의미

유교는 공자에 의해서 집대성된 가르침이다. 儒家(유가), 儒學(유학), 이라고도 하며 孔子敎(공자교)라는 말과도 통용된다. "儒(유)" 는 원래 직업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고대 중국에서 "儒(유)" 는 禮儀(예의)를 담당하던 직업으로서 사회의 교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신성하고 중요한 직업이었다.
『說文解字(설문해자)』나 字典(자전)을 통해 보면 '儒(유)' 는 부드럽다(柔(유)), 스며들다(濡(유)) 라는 뜻이다. 그 의미는 사람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는 "求道者(구도자)" 라는 뜻이다. 따라서 유교란 '儒者(유자)들의 올바른 가르침' 또는 '그 가르침을 믿고 따르는 사람들의 행동원칙' 이라고 할 수 있다.

2) 유가사상의 탄생 배경

①역사적 배경

공자와 맹자가 살았던 시대는 극도로 혼란했다. 춘추전국이라고 하는 격변기에 주왕조의 법통을 지키고 무너지는 종법제도의 유지를 통해 혼란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춘추시대 말기에 발명된 철기가 전국시대에 이르러 널리 보급되면서 사회 경제적 토대는 매우 급변하게 되었다. 경제적 급변으로 인하여 침략과 약탈을 위한 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를 목도한 공자와 맹자는 인간이 사회적 환경 속에서 변화되는 것을 위태롭게 생각하여 교육의 중요성과 여러 정치사상을 꾀하게 되었다.
공자와 맹자가 활동하던 당시의 사회, 정치적 배경은 신분제 질서가 붕괴되어 혼란이 극에 달했으며, 경제적 구조의 변화로 인간의 욕심마저 극에 달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본성 회복을 통하여 극복하고자 하였다.

②사상적 배경

유가 사상은 중국의 신화 속에 나오는 요임금과 순임금의 성군들에게서부터 나왔다. 요 임금은 기원전 24세기의 인물로 덕으로써 세상을 다스렸으며 대홍수가 일어났을 때는 홍수를 막도록 하고, 대가뭄이 일어났을 때는 신궁(神宮)을 시켜 10개의 태양 중 9개를 떨어뜨렸다 순 임금은 요 임금의 뒤를 이은 인물로 요 임금과 마찬가지로 덕치(德治)의 대명사로 불린다. 순의 아버지는 여러 번 순을 죽이려고 하였으나 결코 효심을 버리지 않아 이를 안, 요 임금이 자신의 아들을 제쳐두고 순에게 자리를 물려주었으며, 순은 그 후 덕으로 세상을 다스린 인물이다. 그러나 공자가 숭배했던 인물은 전설적인 요순 임금이 아니라 주공이었다. 주공은 주나라를 세운 무왕의 동생이다. 무왕이 죽자 많은 이들은 현명한 주공을 왕으로 앉히려 했다. 그러나 주공은 무왕의 아들(성왕)을 보위에 오르게 한 뒤 통치 기술을 가르쳤다. 그는 왕에게 덕치(덕으로 세상을 다스림)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올바른 가족 제도를 확립한 인물이다. 공자는 주공에 대해 모든 제왕과 대신들이 모범을 삼아야 할 인물로 격찬했다. “오랫동안 주공을 꿈 속에서 뵙지 못하니 내가 허약해지고 늙는 것 같구나.” 라고 한 말에서 공자가 얼마나 간절히 주공을 숭배했는지 알 수 있다. 주나라의 왕들은 ‘천명(天命)은 늘 똑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나라 왕가의 후예들이 언제나 왕이 되리라는 보장이 없다고 믿었다. 그 이유는 민심(民心)이 천심(天心)이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왕권을 유지하려면 필수적으로 덕을 갖추어야 했다. 그러나 주나라에도 위기가 왔다. 왕들은 도덕적으로 타락하기 시작했고, 가족적 의례제도도 무시되었다. 그 때 공자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학문에 힘써야 한다고 역설했고, 다시 덕치를 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개괄적인 설명
참고문헌
'변화'에 대한 고대 중국인들의 관념과 공자 사상의 핵심 - 장영백
전통과 한문의 만남 '이야기 한자여행' -http://hanja.pe.kr/phi_2/p2_02.htm
맹자의 사상과 한국의 행정문화(배점모)
지배의 정당성의 관점에서 본 맹자의 정치사상(유미림-이화여자대학교)
묵자 그 생애, 사상과 묵가 김학주, 2002, 명문당
동양 사상의 이해 장승구외 14인, 2002, 경인 문화사
덕치, 인치, 법치 신동준, 2003, 예문서원
선진유가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정은재(대구한의대 대학원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