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

 1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
 2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2
 3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3
 4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4
 5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5
 6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6
 7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7
 8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8
 9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9
 10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0
 11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1
 12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2
 13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3
 14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4
 15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5
 16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6
 17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교과교육] 개념학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개념의 학습
1. 개념의 의미와 유용성
2. 개념의 성격
3. 개념의 유형
4. 개념의 교수방법
Ⅲ. 개념학습의 모형
1. 속성모형
2. 원형모형
3. 상황모형
4. 모형들 간의 관계
Ⅳ. 개념학습 모형의 효과 논의
Ⅴ. 맺음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사회과 교수-학습 내용에 있어서 지식은 사실, 개념, 이론, 일반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개념은 사회과의 학습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회적 현상인 사실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해주는 것이 개념이기 때문이다. 개념이란 우리가 경험하고 부딪치는 다양한 사물, 사건들과 같은 현상들을 어떠한 기준에 따라서 범주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념은 경험 세계를 체계적으로 일관성 있게 정리하도록 도와주며, 인식의 구조로서 사고의 기본 요체가 된다. 따라서 개념들은 지식을 생성하고 조직하는 것을 도와주고, 일반화를 도출하는데 유용하며, 학습에서의 원리를 터득하고 문제 해결력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회과에서 개념을 어떻게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에 대한 논의는 교수-학습의 논의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개념학습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본 글에서는 개념학습의 의미와 유용성, 성격 등 개념학습과 관련된 일반적인 내용들을 고찰하고,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개념학습모형 중에서 속성모형, 전형모형, 상황모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개념학습모형 중에서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논의하고 있는 연구들을 소개하면서 글을 마치고자 한다.


Ⅱ. 개념의 학습
개념은 사회과의 학습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지식 요소이고, 또 높은 차원의 사고력 학습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 오면서 개념학습은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개념의 의미, 개념의 이해과정, 개념학습의 방법 등에 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개념의 의미와 유용성
개념학습의 방법과 실제 수업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개념의 의미와 특성, 사회과를 구성하고 있는 개념과 탐구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박상준,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6, p,159.


1) 개념의 정의
개념은 인지활동의 기본 요소이며 사회과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인 지식형태이다. 이러한 개념에 대한 정의는 일반적으로 학자에 따라 다양하고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세 가지 입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입장은 개념을 단어의 의미와 동일하게 보는 견해로, 개념은 어떤 현상이나 사물 등에 대한 서술적 표현을 언어로 기호화한 것이라고 정의한다. 두 번째 입장은 개념을 공통적 속성을 갖는 제 자극의 유목으로 보는 견해로, 개념은 일련의 대상이 되는 사례들을 묶어주는 하나의 범위나 구성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입장은 개념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려는 견해로, 주변 세계의 다양한 정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인지도식(Klausmeier and Hooper,1974: 22)으로서 개념을 파악하는 입장이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르쳐지는 개념을 이야기할 때는 개념을 설명하는 위와 같은 다양한 입장들의 모든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사회과 개념에 대하여 Banks(1990:90)는 우리가 경험하고 부딪치는 다양한 사물, 사건과 같은 현상들을 어떠한 기준에 따라서 범주화한 것으로 파악하여 두 번째 입장 즉, ‘개념을 공통적 속성으로 갖는 제 자극의 유목으로 보는 견해’를 강조한다. 하지만 그 밖의 내용 또한 개념을 논의할 때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입장이다.
이렇게 볼 때, 개념은 ‘다양한 사상, 사물, 사회 현상에 대하여 하나의 규
참고문헌
참고문헌
구정화. 『사회과 개념학습의 쟁점과 과제』.2001.
김현석. 『일반사회 교과교육론』. 도서출판 형설. 2004.
박상준.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6.
윤기옥 외.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출판(주). 2001.
정문성 외 5명. 『사회과 교수·학습법』. 교육과학사. 2008.
차경수..『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차경수. 『지식과 사고-사회과교육 인식의 전환』. 서울: 학문사.  

참고논문
구정화. 「사회과 개념학습의 연구 동향 및 함의」. 1995.
류기서. 「사회과 개념학습 모형 효과 분석 실험 연구: 공업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 2002.
배원자. 「초등학교 사회과 개념학습에 있어서의 전형모형과 고전모형의 학습효과」. 『교육학연구』 제32권 5호. 1994.
이영순. 「사회과 개념학습에 있어서 고전모형과 전형모형의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2001.

참고자료
http://classroom.re.kr/uploadfile/content/content01/second02/data01/sub03/07/
http://www.classroom.re.kr/uploadfile/content/content04/second02/data02/sub01/#2-1 http://blog.naver.com/kyb2884?Redirect=Log&logNo=50032561951 http://blog.naver.com/lake1moon?Redirect=Log&logNo=30010726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