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

 1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
 2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2
 3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3
 4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4
 5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5
 6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6
 7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7
 8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8
 9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9
 10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0
 11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1
 12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2
 13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3
 14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4
 15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5
 16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6
 17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7
 18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8
 19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19
 20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수화법 사회 도시와 생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Ⅶ
수업을 시작하며


1
단원 설정의 배경

2
수업의 방향



수업을 준비하며


1
학생 이해 자료

가. 대 상
나. 조사 내용

1) 교수-학습 내용 구성에 대한 탐색

가) 영화관, 놀이동산, 박물관, 도서관 등의 문화시설을 얼마나 이용하고 있습니까?
나) 어떠한 곳에 살고 있습니까?
2) 교수-학습 방법 구성을 위한 탐색
가) 과목 중에서 어떤 과목을 가장 좋아합니까?
나)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사회를 학습하기 전에 선행학습을 합니까?
다) 선행학습을 한다면 어떠한 형식으로 하고 있습니까?
다. 지도 대책

2
학습지도를 위한 기초 연구


가. 개념학습모형

나. 개념학습모형의 형태

1) 속성모형

2) 원형모형

3) 상황모형

다. 개념학습의 일반적인 교수 학습 과정
라. 개념학습의 교수원리와 특징

마. 개념학습모형의 실제적 적용

수업에 들어가며


1
단원의 개관


2
단원의 목표

3
단원의 지도 계획

4
제재의 내용 개관


5
지도상의 유의점



수업의 실제


1
교수-학습 과정안

2
평가 계획

3
판서 계획


4
자료 활용


가. 로드뷰 자료

나. 조별 및 개별활동지나. ‘시골쥐의 일기’ ppt 자료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나. 개념학습모형의 형태
1) 속성모형
개념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사례나 사회적 상황보다도 개념이 갖고 있는 특징을 중심으로 가르치는 것을 속성모형이라고 한다. 이 모형은 개념학습모형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것이기 때문에, 고전모형이라고도 한다. 이 모형은 개념이 어떤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개념으로서 성립된다고 보고, 이 특징을 중심으로 개념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수업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문제 제기 ⇒ 속성 제시와 정의 ⇒ 결정적 속성과 일반적 속성 검토 ⇒ 사례와 비사례 검토 ⇒ 가설 검증 ⇒ 개념 분석(개념의 형태, 종류, 관계 분석) ⇒ 관련 문제 검토 ⇒ 평가


2) 원형모형
원형모형은 속성모형이 제시하는 속성의 진술을 가지고 대표적인 사례를 찾기 힘들거나 개념이 불명확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하여 대두되었다. 이 모형에서는 개념을 가르칠 때는 전형적인 기본모형을 중심으로 수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개념은 대상의 속성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범주는 구성하는 대표성 또는 전형성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속성모형과 비교해볼 때, 속성모형은 개념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설명하지만 원형모형은 개념의 대표성을 추상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수업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문제 제기 ⇒ 원형 또는 사례 제시 ⇒ 비사례 제시 ⇒ 개념 분석 ⇒ 관련 문제 검토 ⇒ 평가


3) 상황모형
상황모형은 속성모형이나 원형모형만큼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회적 상황을 중요시하는 독특한 성격 때문에 최근에 특히 관심을 끌고 있는 모형이다. 상황모형은 개념 형성 과정에서 학생이 직접 겪은 경험이나 행동 등을 중심으로 개념을 가르치려고 한다. 개념 형성이나 dlg 과정에서 사회적 맥락과 상황을 중시하며, 학습자 자신이 그 사회의 역사적 상황이나 문화적·사회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이
참고문헌
최용규 외 (2008),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