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속요 장르론

 1  인문어학 속요 장르론-1
 2  인문어학 속요 장르론-2
 3  인문어학 속요 장르론-3
 4  인문어학 속요 장르론-4
 5  인문어학 속요 장르론-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속요 장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속요의 장르 명칭
국문학의 장르 중에서 가장 이견이 많고 불명확한 개념을 가진 분야가 속요(일련의 작품군)이다. 장르의 명칭은 특정한 작품군을 지칭하거나 공부하기 위한 편의상의 학문분류이면서 다른 한 편으로는 연구의 최종적 결과에 따라 특정한 작품군에 합당하게 붙여진 학술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장르명칭으로 고려가요, 여요, 고려가사, 속요, 고속가, 속악가사, 장가, 별곡, 여가 등의 여러 이름이 있으나, 학계에서 통일된 명칭으로 정립되지 못한 형편이다. 일정한 작품군이 하나의 장르로 독립되기 위해서는 인접 작품들과 동질성을 공유하거나 아니면 인접장르들과의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첫째, 고려가요나 고려가사를 명칭을 쓰는 경우를 보자. 이 경우에 여대가요나 이를 줄여 여요라고 하기도 하며 같은 유형의 명칭이다. 그런데 이 말은 고려시대에 존속해 있던 잡다한 여러 갈래의 노래, 즉 향가, 시조, 경기체가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 되므로 시가의 한 갈래에 불과한 속요의 명칭으로는 적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또 문학의 갈래명 앞에 고려라는 식으로 왕조명을 덧붙여 사용하는 예는 다른 갈래의 명칭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만약 이처럼 갈래 앞에 왕조명을 붙여 사용한다면 고려시조, 조선시조 등이 되어 곤란할 것이다.
둘째, 장가라는 명칭을 살펴보자. 장가로 불리게 된 것은 일군의 시가가 다연체의 긴 형식을 취하고 있는 데서 장가라 명명된 것이다. 그런데 같은 시대에 속요처럼 다연체를 취하고 있는 경기체가인 한림별곡도 있다. 즉, 막연한 길이에 따른 이름일 뿐이다.
셋째, 별곡이란 명칭을 검토해보자. 별곡 또한 경기체가와 가사작품에서도 공히 사용되는 명칭이기에 합당하지 않다.
넷째, 속요라는 명칭에 대하여 살펴보자. 속요는 속악가사가 내용면에서나 형태면에서 민요의 한 종류인 속요적 요소를 많이 갖고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궁중 노래는 변개와 첨삭의 과정을 거쳐 악장으로 승화되었기 때문에 개인 창작가요라 할 정도로 세련성을 갖게 되어 원가인 원래의 민요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속가가 형식과 내용면에서 민요적 색체를 많은 부분 지니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민요일수는 없다.
2. 속요의 장르 개념
속요의 장르적 성격이나 대상작품에 대해 아직 학계에서는 통일된 견해를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장르에 대한 개념정의와 작품의 한정에 따라 장르설정 자체가 다양할 수밖에 없는데, 지금까지 논의된 것은 크게 두 견해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고려사악지와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실려 있는 모든 작품을 속요로 보아 민요적인 성격의 노래부터 궁중에서 연주된 잔치악까지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보는 경우이다.
둘째, 궁중에서 연주된 속악의 가사만을 대상으로 보는 경우인데 고려사악지에 실린 민요적인 노래를 제외하고 악작궤범이나 악장가사에 실린 노래와 시용향악보의 일부분만을 동일한 장르로 보는 경우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