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

 1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
 2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2
 3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3
 4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4
 5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5
 6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6
 7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7
 8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8
 9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9
 10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0
 11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1
 12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2
 13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3
 14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4
 15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5
 16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6
 17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7
 18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8
 19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19
 20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갈등론에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소개말
1. 갈등론이란?
2. 갈등론의 주요개념
3. 관련사상 및 사상가
4. 갈등론의 평가
5. 갈등론적 교육관
6. 갈등론적 교육관의 한계점
7. 결론
8. 문제풀이
9. 질의응답
본문내용
3. 관련 사상 및 사상가 – 1) 마르크시즘


경제적 층위
정치적 층위
이데올로기적 층위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억압적 국가기구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존속


이념적 국가기구:
종교, 교육, 가족, 법률, 정치,
노동조합, 매스커뮤니케이션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등),
문화(문학, 예술, 스포츠 등)


사투리의 반격


몇 년 전부터 대중문화계에 사투리 열풍이 불고 있지만 현실 속 언어인 사투리는 표준어에 밀린 채 점차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급기야 사투리를 제대로 대접해 달라는 헌법소원도 제기돼 진행될 만큼 표준어
정책에 대한 논란도 갈수록 거세지고 있습니다. … (중략)…

안혜경 (방송인, 강원 평창 출신) : “모든 게 서울 위주로 방송이 되고 그 사람들 위주로 말들이
되니까 사투리 쓰다 보면 약간은 촌스런 이미지 아직은 좀 완성이 덜된 이미지로 보이는 것 같아요.
저 또한 그런 생각을 갖고 있어서 그런 피해 의식이 있어서 안 쓰려고 노력 많이 했었거든요.” … (중략)…

김헌식 (문화평론가) : “주인공은 항상 표준어를 써야 된다는 불문율이 있어서 오히려 그것이
표현의 자유 볼 권리라든지 작품성 높이는데 저해 요소가 되는 건 아닌지….”
조폭 영화에서 사투리는 단골 메뉴입니다. 특정 사투리가 조직폭력배의 전유물로 등장하며 편견을 부추긴다
는 논란도 여전합니다.
하루비 (소설가): "사투리 쓰는 사람들은 방송에 가정부로 나온다든지 깡패로 나온다든지 천박한
사람으로 이미지를 그렇게 내니까 그게 문제죠."
박원석 (탯말두레 간사): “같은 집안 식구도 교육을 받고 출세를 한 하이클래스 큰 아들은 표준말을
쓰게 나오고 공부 못하고 배우지 못한 둘째 아들은 사투리 쓰게 나오고 ...”

사투리에 대한 차별과 왜곡은 서울말만 표준어로 정했기 때문이라며 탯말두레 회원들은 헌법소원을 냈고
지난 달에는 공개변론까지 진행됐습니다. 표준어가 사투리보다 우월하다는 편견이 생긴 것은 교양
있는 사람들의 서울말만 표준어로 정한 뒤 교육을 통해 강요했기 때문이며 이는 평등권과 행복
추구 권 등을 침해했다는 주장입니다. 학계에서도 정부가 주도하는 표준어 정책이 과연 바람직한지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남영신 (국어문화원 원장) : “문제는 방언 사투리인데 각 지역 사투리를 그 언어로 대접을 하라.
그 지역 언어에 대해서 표준어와 다르다든지 듣기가 싫다든지 여러 가지 이유를 들고 품위가 없다든지 이유
를 들어서 그 사투리 쓰는 것 자체를 비하하거나 차별 대접하면 절대 안돼요.” … (중략)…
김진해 (경희대 교양학부 교수) : “표준어는 지금도 충분히 권력을 누리고 있는 거거든요.
공생한다고 하는 것은 지역 어를 어떻게 지역어가 갖고 있는 권리 생존권 복원 이런 것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에 집중하는 게 올바르다고 생각 합니다.” 말이 사라진다는 것은 단순한 어휘 뿐 아니라 그 말이
담고 있는 역사와 문화도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강재태 외5, 「교육사회학」 , 교육과학사, 2007.
고병진, 이인학, 이미연, 이경혜, 이춘옥 「신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6.
송영경, 「교육사회학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07.
고형일 외12, 「신교육사회학」, 학지사, 2007.
최정웅, 양경숙, 「교육사회학」, 양서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