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양명학의 전래

 1  [한국사] 양명학의 전래-1
 2  [한국사] 양명학의 전래-2
 3  [한국사] 양명학의 전래-3
 4  [한국사] 양명학의 전래-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양명학의 전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론
1. 양명학의 형성

2. 양명학의 원리

3. 양명학의 전래

결론

본문내용
들어가며
17C에 들어서며 변화를 거부하는 양반층이 기득권 유지의 방편으로 선택했던 성리학은 현실문제 해결의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로 역사의 발전에 역행할 뿐이었다. 따라서 성리학에 대한 비판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는데 17C 후반의 윤후와 박세당은 일찍이 성리학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성리학에 대한 반발은 단순히 성리학을 비판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대안을 모색하는 단계로 이어졌는데, 곧 성리학이 아닌 다른 학문을 사회를 이끌어 갈 새로운 이념으로 탐색하게 된 것이다. 이 때 성리학의 대안으로 등장한 새로운 유학 경향이 바로 양명학이었다.

본론
1. 양명학의 형성
주자학은 그 체계가 완비되어 있어 원나라 때부터 수양과 실천을 위주로 할 뿐 이론적인 독창성이 없었다. 그러나 명나라 초기 진헌장(陳獻章)은 독서에 의한 자기수련방법에 대하여 의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독서를 버리고 정좌(靜坐)를 통하여 사색한 끝에 '곳을 따라서 천리를 체인(體認)하는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의 문인 임광(林光)은 진헌장에 대해서 "선생께서 교육할 시초에 반드시 정좌케 하여 그 착한 실마리를 기르게 했다. 일찍이 말하기를, '
참고문헌
한국의 양명학 , 유명종, 동화출판공사, 1983
조선후기 양명학의 수용과 전개 〈한국사학술회의 발표문>, 지두환, 국사편찬위원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