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

 1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1
 2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2
 3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3
 4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4
 5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5
 6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6
 7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7
 8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8
 9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9
 10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여성서사민요 중 남편과의 갈등을 그린 민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자세하게
A. 작품분석
1. 진주낭군(충청북도 중원군 소태면 민요)
2. 첩의 노래
3. 후실장가 들다 죽은 남편
B. ‘애정갈등류’의 여성서사민요를 통해 알아본 여성의 현실인식과 삶
Ⅲ. 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 서사민요의 개념과 여성서사민요의 위치 이정아 「서사민요 연구-양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사민요는 여타의 구전민요들에 비해 노랫말 즉 문학적 사설이 풍부한 편이다. 서사민요는 여타의 다른 민요들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선율과 박자에 의해서 엮어지고 있는 민요이며 그 노랫말이 서사적인 골격을 지닌 이야기라는 점에서 차이를 지닐 뿐이다. 이렇게 민요로서의 고유성을 확보한 서사물이라는 점에서 서사민요는 문학적 연구대상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게 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 서사민요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아울러 서사민요의 작품군들 가운데서 대표성을 띠는 대상으로서 여성서사민요의 위치를 밝히도록 한다.
민요를 문학적인 입장에서 다룬 본격연구서로 평가되고 있는 조동일의 에서는 서사민요를 “일정한 성격을 지닌 인물과 일정한 사건을 갖춘 있을 수 있는 이야기”라고 규정하며 인물, 사건, 이야기가 서사민요를 서사물로서 존재하게 하는 요소들이라고 보았다. 서사민요가 민요로 가창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앞선 정의를 재정리 한다면 “민요의 창자에 의해서 불려지는 인물과 사건이 있는 이야기 노래” 라고 할 수 있다. 즉 민요 가창자에 의해서 불려지는 이야기를 담은 모든 민요는 모두가 서사민요일 수 있다. 이야기 전개방식으로 불려지는 민요, 이야기가 내재되어 있는 민요, 이야기 중 일부로 떨어져 나온 민요등은 모두 서사민요이다.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민요자료들을 살펴볼 때 밭을 매거나 길쌈을 하면서 불렀던 여성들의 노동요, 나무꾼들이 나무를 하러 가면서 부른 어사용, 망자를 보내는 의식에 불렀던 상여소리나 달고소리, 강강수월래나 월워리청청 등의 선후창 형식의 후렴구가 수반되는 노래, 이야기가 단편화된 형태의 단편 민요, 고대소설이나 판소리, 서사무가에서 파생된 민요 등에서 서사민요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이들을 현실적으로 체계화 시킨다는 것을 무척 어려운 일이다. 각가의 노래가 지닌 이야기들은 창자의 자전적인 체험의 성격을 띠고 있거나 이미 존재하고 있던 다른 기능의 노래말들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이 담고있는 노랫말들은 서사적 유형으로 정리하기에는 너무도 산발적이며 유동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간행된 자료집들을 검토한 결과, 서사민요라고 지칭할 수 있는 자료의 대부분이 밭매기나 길쌈과 관련된 여성들의 노동요들이었다.
또한 밭매기나 길쌈의 기능과 관련되어 불려지는 여성 노동요들은 그 자체에 이미 서사적인 전형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서사적인 전형성이란 프랭스가 말한 최소한의 스토리 즉 세 개의 사건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이다. 행동의 시작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갖춘 서사물이라는 점에서 밭매기나 길쌈하면서 부른 여성들의 노동요들은 서사적인 전형성을 띤 서사물로서 자격을 갖추고 있으며 동시에 서사민요로서 대표성을 지닌다. 즉 밭매기나 길쌈과 같이 여성이라는 동질성이 보장된 노동의 현장에서 불려진 이야기 노래들은 여성서사민요라고 할 수 있다.
이제까지 알아본 여성서사민요에 관한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는 여성서사민요의 구조적인 특징 및, 그 유형에서 애정갈등류에 속하는 세가지 종류의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고, 거기에 담겨있는 당시의 여성들의 현실대응 양상 및
참고문헌
-이정아, 「서사민요 연구-양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대계 7-5, 7-4, 7-18
-강진옥, 서사민요에 나타나는 여성인물의 현실대응양상과 그 의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