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구비문학

 1  [국문학]구비문학-1
 2  [국문학]구비문학-2
 3  [국문학]구비문학-3
 4  [국문학]구비문학-4
 5  [국문학]구비문학-5
 6  [국문학]구비문학-6
 7  [국문학]구비문학-7
 8  [국문학]구비문학-8
 9  [국문학]구비문학-9
 10  [국문학]구비문학-10
 11  [국문학]구비문학-11
 12  [국문학]구비문학-12
 13  [국문학]구비문학-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구비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비문학의 개념

2. 구비문학의 전반적 성격

3. 구비문학의 양식과 특성
3.1. 구비문학의 여러 종류
3.2. 설화(이야기)
3.3. 민요
3.4. 무가

4. 구비문학 조사 연구의 현황


본문내용
구비문학은 기록문학과 달리 현장에서 살아 숨쉬는 문학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얼굴을 맞대고 호흡을 나누는 바로 그 자리에 존재한다. 그 자리는 노동의 현장일 수도 있고, 놀이의 현장일 수도 있으며, 의식(儀式)의 현장일 수도 있다. 삶의 현장에는 어느 곳에나 구비문학이 있어 생활의 일부를 이루었다.
현장의 문학인 구비문학은 현재적이고 일회적이다. 구비문학에는 어떤 고정된 텍스트가 없다. 그것은 '가능태'로서 잠재해 있다가 구체적 현장에서 현재적으로, 일회적으로 실현이 된다. 다시 말해, 구비문학 텍스트는 현장 속에서 그 성격이 규정된다. 누가 구연하고 누가 들으며 분위기가 어떠한가에 따라 텍스트의 성격이 크게 달라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구비문학 분야에서는 현지조사에 입각한 연구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구비문학은 현장의 문학임으로 해서 흔히 '복합예술(또는 종합예술)'로서 존재한다. '언어' 이외에 노래나 몸짓(간단한 동작, 춤, 연기, 노동, 의식 등)이 함께 결부되곤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예술적 성격은 구비문학을 더욱 생동감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고정옥, 『조선 구전문학 연구』, 과학원출판사, 1962.
김태곤 외 6인, 『한국구비문학개론』, 민속원, 1995.
신동흔, "역사인물담의 현실대응방식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3.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71.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최인학·최래옥·임재해 편, 『한국민속연구사』, 지식산업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