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백석의 고향의식

 1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1
 2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2
 3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3
 4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4
 5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5
 6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6
 7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백석의 고향의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근대가 낳은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고향
2. 백석 시의 특징
3. 백석 시에 드러나는 고향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내게는 고향이 없다.
생물학적으로 단지 태어난 곳으로 인식되는 서울은 내게 고향은 되어주지 못했다. 자주 옮겨 다니다보니 어쩌면 여기저기에 고향을 조금씩 흩뿌려놔 큰 덩어리로는 보이지 않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언제나 고향이라는 단어는 생경했다.
그렇지만 고향의 마음이 어떤 것인지 조금은 알게 된 일이 있었는데 열이 나서 굉장히 아팠을 때였다. 집에는 아무도 없고 혼자 힘들어하다가 까무룩 잠이 들었는데 서늘한 손길에 깨어보니 어머니가 와 계셨고, 나는 어머니가 이마에 손을 짚어 주신 것만으로 안심이 되었다.
백석의 시「고향」을 처음 접했을 때, 꼭 내가 아프던 그 때 옆에 계시던 어머니가 생각났다. 시인이 시를 쓸 때 나와 같은 마음으로 썼을 거란 것을 알았고 내게는 어머니가 바로 고향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렇게 나는 백석이 좋아졌다.
백석의 작품에는 항상 가장 깊은 곳에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깔려있음을 알 수 있다. 백석은 왜 그렇게 고향을 노래했고 그에게 고향은 어떤 의미로 남았던 것일까.

Ⅱ. 본론

1.근대가 낳은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고향

예로부터 우리 문학에서는 자연이 많이 다루어져왔다. 특히 가사나 시조에는 강호가도를 다룬 많은 작품들이 있고, 또 근대에 들어서도 시문학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같은 주제를 다루되 주제에 대한 인식은 변했음을 알 수 있다. 즉, 과거의 안빈낙도하는 자연이 아니라 근대에는 고향이라는 이름으로 변형되어 나타나게 된 것이다.
근대는 모든 것을 바꿔 버렸다. 견고한 모든 것들, 심지어 신으로 대표되는 영원성까지 대기 속에 날려버리는 즉흥성, 순간성만이 근대 사회의 기본 속성이 되어 버린 것이다 M, 버만, 「현대성의 경험(윤호병 외역)」, 현대미학사(1994)
. 또한 자연을 기술적으로 지배하기 시작한 근대는 자연의 원초성으로부터 인간을 강제 분리시켰고, 그로 인해 태아적 안정감을 잃었던 근대적 자아는 영원에 대한 그리움을 고향에서 찾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근대적 숙명을 지닌 1920-30년대의 고향은 한국적인 상황이 더해지면서 좀 더 복잡해진다. 식민지 시대에 고향이 갖고 있는 의미는 매우 복합적인 것이어서 이를 하나의 개념으로 추상화시키기는 어렵다. 가령, 고향 상실을 국권상실의 상징적 의미로 읽는가 하면, 타향에 대한 대타적 의미라든가 일탈된 근대적 자아의 자기 확신의 수단으로 이해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일제 식민지 수탈 정책으로 말미암아 고향을 떠난 유이민들의 슬픈 체험이나 근대화된 일본의 도시로 진출한 유학생들의 향수 등으로 해석되기도 하는 것이다. 한계전,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고향’이미지에 관한 연구」,『한국문화』16집,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1995)

참고문헌
1. 이동순 편,『백석시 전집』, 창작과 비평사(1987)
2. 김재용 편, 『백석 전집』,실천문학사(1997)
3. 문덕수․함동선,『한국현대시인론』(1996)
4. 한계전,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고향’이미지에 관한 연구」,『한국문화』16집,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 구소(1995)
5. 김명인, 「백석시고」,『우보 전병두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1983)
6. 이동순, 「민족시인 백석의 주체적 시 정신」,『백석시 전집』, 창작과 비평사(1987)
7. 최두석, 백석의 시 세계와 창작방법, 우리시대의 문학』6집, 문학과 지성사(1987)
8. 오세영, 「떠돌이와 고향의 의미-백석론」,『한국현대시인 연구』, 월인(2003)
9. 이혜원,「백석시의 동심지향성과 그 의미」,『한국문학연구』3호
10. 김영철,「현대시에 나타난 지방어의 시적 기능 연구」,『우리말글』 25호(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