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

 1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1
 2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2
 3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3
 4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4
 5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5
 6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6
 7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7
 8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8
 9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9
 10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도입부
Ⅱ.본론
1.우리말은 어디로 가는 거지?
가. 제자리를 지키기 힘든 우리말
나. 제대로 쓰이지 못하는 우리말
다. 사라져가는 ‘우리말’ 바로 알기
2.왜 우리말이 떠나가는 걸까?
가. 세계화의 탈을 쓴 문화의 변화
나. 언어의 대한 우리의 잘못된 인식
다. 우리말에 대한 우리의 잘못된 태도
3.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지?
가. 다른 문화를 통해 배워야 할 점
1)일본
2)영어
나. 우리의 노력
1)한글의 주체적 사용의 실례
2)국가의 국어 정의
3)바른 국어교육
4)국어생활 규범을 위한 제도마련
5)말 바로쓰기
6)표준화
7)인식의 전환
Ⅲ. 맺음말
1.저자에 대해서
2.결론
본문내용
Ⅰ. 도입부

우리가 이번 과제의 자료로 쓴 책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에서 우리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처음 딱 떠오르는 의미는 아마 ‘고유어’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말 그대로 우리말, 한국어 사용 전반에 관한 우려를 책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다. 저자의 표현이 좀 거칠고 이질적인 부분이 많아 비판적으로 읽었지만 수용해야 할 부분이 많았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우리는 저자를 비판하기 보다는 저자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사실을 전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발표를 계획했다.
저자는 언어 능력이 개인의 능력으로서 매우 중요시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런 세상을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언어 능력의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 다음의 대화를 보자. 어린 아이들이 주고받는 대화이다.

“야! 쟤 롱다리 정말 끝내주지 않냐?”
“우와 정말 울트라캡송나이스짱이다. 그런데 난 이게 뭐야. 아 열 받아.”

단편적인 대화를 하나 실어 놓았다. 혹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는가? 이미 누군가에게 익숙한 상황일 수도 있다. 저자는 어린아이들의 이런 언어생활이 어른들의 언어생활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어른들은 어휘 능력을 늘리려고 하지 않고 아는 것을 이리저리 두루 쓰려고 하고 그의 영향을 받아서 아이들은 어휘력이 줄어들어 결국 위에 대화처럼 자기가 아는 몇 개의 단어를 이리저리 구부리고 꼬아서 자기가 나타내고자 하는 뜻을 표현하려 한다는 것이다.
우리말을 제대로 알고 쓰자는 건 어떤 뜻일까? 우리는 우리말을 잘 알지 못한 채 사용하고 있다. 모국어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소홀히 여기는 문법이나 잘 쓰지 않아서 사라지는 말들, 다른 말에 밀려나는 말들을 알아보고,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가져 우리말에 대해 가진 잘못된 인식을 고치는 것과 여태껏 몰랐던 우리말 단어들을 알고 사용하는 것. 우리가 이번 발표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참고문헌
남영신(2008),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서울, 리수출판사
하고 싶은 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 에 대해 조사 연구한 자료입니다.

목차 참고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