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

 1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
 2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2
 3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3
 4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4
 5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5
 6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6
 7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7
 8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8
 9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9
 10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0
 11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1
 12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2
 13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3
 14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4
 15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5
 16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6
 17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7
 18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8
 19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19
 20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아특수교육]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통합교육의 정의

1) 통합교육의 여러 가지 정의

2) 통합의 의미

3) 주류화 프로그램과 역주류화 프로그램(Reversed Mainstreaming Program)


2. 통합교육의 효과

1) 장애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2) 비장애유아에 미치는 영향

(3)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

(4) 사회에 미치는 영향

3. 통합교육의 세 가지 근거


1) 사회 윤리적 근거

2) 법률상의 근거

(책 내용 외 자료)

3) 교육 심리적 근거

4.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준비 요소
1) 프로그램

2) 교사

3) 비장애유아

4) 장애유아

5) 부모

6) 교실 환경

5.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목적

Extra-1. 우리나라의 특수학교 및 통합 교육현황
Extra-2. 외국의 통합 교육 정책

3. 외국의 통합 교육정책

영국
스웨덴
미국
일본
1. 장애 아동 교육의 시작과 진흥

2. 장애 아동 교육의 현황

3. 최근 특수교육을 둘러 싼 상황

4. 신학급 지도요령의 주요한 개선점

5. 21세기 일본의 특수교육의 전망

6. 사회적 통합을 위한 중재 방법
1) DAP와 통합유아교육 프로그램

2) 태도 증진을 위한 정서적 중재

3) 사회적 행동의 우발적 교수

6) 사회적 기술 훈련

본문내용
1) 장애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대부분의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장애유아가 통합교육을 통하여 사회성 영역이나 언어, 기타 발달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음.
- Fewell과 Oelwein(1990) - 언어, 인지, 운동기술발달의 진보.
- Lamorey와 Bricker(1993) - 높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 더 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 많은 사회적 시도.
- Guralnick와 Groom(1987) - 통합 교실과 분리교실에서의 경도의 정신지체유아의 행동을 비교하였는데, 통합교실의 유아는 분리교실의 유아보다 2배 이상 사회적 상호작용에 더 많이 참여하였다.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유아가 많은 사회적 환경은 분리 교실보다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 발달에 아주 지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실에서 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은 장애유아가 높은 수준의 놀이를 배우고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할 것이다(Guralnick, 1990).
- 장대은(1997) -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적응력을 보이며, 더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한다고 보았음.
여러 측면에서 장애유아의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비장애유아에 미치는 영향

장애 유아를 통합할 때 흔히 부딪치게 되는 문제 중의 하나는 이들과 함께 교육받게 되는 일반 유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일반 유아 부모들의 우려이다. 일반 유아 부모들의 이와 같은 우려는 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는 운영자나 유아들의 교육을 직접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의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들이 실시되었으며, 이 연구들을 종합 분석한 보고들에 의하면 통합교육이 일반 유아들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을 뿐만 아니라(Odom, Deklyen, & Jenkins, 1984), 오히려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에 대한 신중한 배려로 인하여 발달과 행동적 측면에서 다양한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소현 역, 1995; Diamond &Innes, 2000; Odom &McEvoy, 1988). 장애 유아와 함께 통합교육을 받은 일반 유아들은 통합되지 않은 비교 집단에 비해서 그 발달상의 성취가 수개월 앞서거나, 성숙 효과로 예상할 수 있는 발달보다 더 높은 비율의 성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Bricker, Bruder, & Bailey, 1982; Bricker & Sheehan, 1981; Hoyson, Jamieson, & Strain, 1984; Ispa & Matz, 1978; Cook, Ruskus, Apolloni, & Peck, 1981).
행동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일반 유아들은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서, 자폐아들을 통합시킨 프로그램에서 일반 유아들이 자폐아의 문제행동을 모방하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폐아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 실시된 교수방법으로 인해서 이들의 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Nordquist, Twardosz, & McEvoy, 1986). 우리나라에서 실시한 한 연구에서도 장애 유아를 위한 사회적 통합 촉진 활동이 일반 유아들의 장애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 시켰으며 일반 또래들 간의 상호작용도 감소시키지 않음으로써 이들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이소현, 2004). 또한 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받은 일반 유아들은 통합교육을 받기 전보다 장애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지니게 되었으며(Diamond, Hestenes, Carpenter, & Innes, 1997), 장애인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Esposito &Peach, 1983; Favazza & Odom, 1997), 장애를 지닌 또래들과 더 많이 상호작용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Okagaki, Diamond, Kontos, & Hestenes, 1998). 최근에 이루어진 한 연구에 의하면 장애 유아의 사회성 발달 촉진을 위해서 구조화된 교수가 진행된 학급의 일반 유아들이 그렇지 않은 통합 학급의 유아들에 비해서 장애 유아에 대한 더 높은 수용도를 보였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수용도 증진은 이들 간의 사회적 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조윤경 & 이소현, 2002). 통합교육을 받은 일반 유아들은 사람들의 개별적인 차이에 대해서 알게 되고, 애타적인 행동을 학습하며, 어려움을 지니고도 이를 극복하는 모델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긍정적인 인격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일반 유아들이 통합환경에서 장애 유아들과 함께 교육받음으로 인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주의 깊은 계획과 배려로 인하여 발달적, 행동적 태도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