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의 코하우징

 1  북유럽의 코하우징-1
 2  북유럽의 코하우징-2
 3  북유럽의 코하우징-3
 4  북유럽의 코하우징-4
 5  북유럽의 코하우징-5
 6  북유럽의 코하우징-6
 7  북유럽의 코하우징-7
 8  북유럽의 코하우징-8
 9  북유럽의 코하우징-9
 10  북유럽의 코하우징-10
 11  북유럽의 코하우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유럽의 코하우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북유럽의 코하우징
1.1. 일반적 배경 및 개요
1.2. 북유럽에서 시작된 ‘코하우징의 개념’
1.2.1. 코하우징의 발달 배경
1.2.2. 코하우징의 정의
1.2.3. 코하우징의 공식적인 정의
[1] 참여과정, 주민참여형 디자인(The Participantory design process)
[2] 공동체 의식을 촉진시키는 설계
[3] 개벌주거를 보완하는 공동생활시설
[4] 완전한 주민에 의한 관리
[5] 비계급적 구조
[6] 소득원의 분리
[7] 아동을 배려하는 디자인
1.2.4. 코하우징의 단지 및 공동생활시설 계획
[1] 주차장 계획
[2] 개별주택
[3] 공동생활시설 (Common house)
[4] 옥외공간 (Outdoor Area)
[5] 전이공간 (Transition space)
2. 북유럽 코하우징 시작
2.1 덴마크의 코하우징 공동체 - 주택 형태로서의 코하우징 공동체
[1] 최초의 코하우징
[2] 코하우징 설립의 시작

[3] 지리적인 위치
[4] 주거단지
[5] 개별주택
[6] 공동생활시설
[7] 조직
[8] 공동 활동
4. 요약 - 코하우징 공동체의 미래
4.1. 코하우징 공동체의 생활의 전반, 장점과 단점.
4.2. 왜 코하우징 공동체를 선택하는가?
4.3. 더 많은 코하우징 공동체가 생길 것인가?
본문내용

1.2. 북유럽에서 시작된 ‘코하우징의 개념’

1.2.1. 코하우징의 발달 배경

현대화와 도시화가 되기 이전에 보통 한 가정을 구성하고 있는 가족 수는 6명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가족들은 물론 하인 또는 친인척들이 동거하거나 인근에 거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가사일 뿐 아니라 육아 및 교육 등을 서로 도와가면서 생활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변화되어 가족 수가 줄고 여성의 취업이 증가하면서 현재와 같은 핵가족의 개념으로는 주위의 도움 없이 그러한 일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가사일과 육아는 가정의 매우 부담스러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철저한 개인주의와 프라이버시의 보장으로 인해 사회로부터의 고립감이나 삭막함을 느끼며 사회에 있어 공동체 생활이나 서로 간의 교류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초 덴마크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코하우징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거 형태를 통해서 개별적으로 구입하기 어려운 기기 등을 공동으로 구입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공동세탁, 공동저녁식사, 공동육아 등을 통해 가사일이나 육아 등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적극적인 공동체 생활과 이웃간의 교류를 통해 서로간의 안전감과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1.2.2. 코하우징의 정의

코하우징이란 도시나 교외지역의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동주택 단지와는 달리, 개인의 프라이버시나 욕구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협동생활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점들, 즉 사회적, 경제적 실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주거 형태로,

여러 채의 개별주택과 공동생활시설, 옥외공간과 같은 부가적인 공유시설을 갖추고, 거주자의 자발적인 자치권과 공동생활의 이익을 혼합하여 모든 거주자들의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의존성, 그리고 협동을 강조하는 주거형태이다.

이것은 1970년대에 덴마크에서 처음 시작되어, 현재는 여러 다른 나라에서 각기 그들의 현실에 맞게 적용시켜 발달되어 오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또는 학자에 따라 Co-operative house, 협동주택, Collective house) 등 여러 가지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코하우징의 개념을 과거 사람들이 살았던 촌락과 같은 공동체 생활을 현대화한 주거유형으로 볼 수 있는데, 과거의 공동체 구성원들은 한 마을에서 오랫동안 거주했기 때문에 서로의 가족과 성격, 재능, 병약 등 모든 것에 대해 서로 잘 알고 지낸 것을 보면, 서로의 인간관계에 각각 책임을 부여받게 되는 대신 서로의 안전과 소속감을 보장받을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코하우징은 결과적으로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현대적으로 재창조하고, 현대인의 프라이버시 추구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단지 생소하고 어색한 서구의 주거유형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