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

 1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1
 2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2
 3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3
 4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4
 5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5
 6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6
 7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7
 8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8
 9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9
 10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10
 11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생교육제도 구축을 위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1. 평생교육의 개념

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계를 위한 탐색

Ⅲ. 현행 학교교육의 한계
1. 교육체제

2. 교육내용

Ⅳ. 교육체제 속에서의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계성

1.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계

2. 행정적 측면에서의 연계성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이론적 고찰

1.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이란 말은 그 사용의 역사가 길지는 않다. 불어로는 L'education Permanence로, 영어로는 Life-long Education으로 표기되고 있는 이 개념은, 랭그랑(Paul Lengrand)에 의하여 그 중요성이 제창되었고, 이를 의미 있게 받아들인 것은 1965년 유네스코의 성인교육 추진위원회(UNESCO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Advancement of Adult Education)에 의해서다. 유네스코는 1970년 ‘세계교육의 해’에 평생교육을 기본이념으로 채택하여 세계 각국의 회원 국가들로 하여금 이 같은 이념을 채택하도록 촉구하였다(장진호, 1979).
유네스코가 전 세계에 공포한 평생교육의 개념은 교육이 모든 국면의 교육을 상호 밀접하게 관련짓는 하나의 총체로 묶어주는 통합적인 원리와 개개인의 한 생애를 통하여 끊임없이 계속되는 삶의 측면에서 재정립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그동안 분절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는 초등교육과 중등교육, 직업교육, 성인교육 등을 연속성이 있고 통합적인 과정으로 간주함으로써 교육이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기에 한하지 아니하고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 같은 관점은 듀이(John Dewey)의 교육관과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의 생활은 발전의 과정이며 발전은 삶이라고 보는 견해로써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계속적인 발전이 있으려면 학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는 견해이다.

참고문헌
김봉수(1983). 학교와 학급경영. 서울: 형설출판사.
김신일(1982). 평생교육의 사회적 배경.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제 2차 세미나 자료집.
김신일 외(1982). 한국 사회교육 실태조사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승한(1981). 평생교육입문. 서울: 정민사.
김영우(1994). 현대사회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김종서(1982). 평생교육의 교육과정 탐색.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제 2차 세미나 자료집.
김종철(1982).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김지자(1982). 한국여성사회교육의 실태와 과제. 서울: 배영사.
김홍규(1994). 우리는 변화해야 한다. 한국교육학회 소식 198호.
염우철(1982). 평생교육과 대학의 전환. 명지실업전문대학. 교육문제연구
제2집.
장진호(1982). 평생교육과 사회교육. 서울: 배영사.
한국사회교육협회(1983). 한국사회교육총람.
황종건(1978). 한국의 사회교육: 신교육학강좌. 서울: 교육과학사.
황종건(198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유대. 사회교육연구 제 7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