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

 1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
 2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2
 3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3
 4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4
 5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5
 6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6
 7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7
 8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8
 9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9
 10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0
 11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1
 12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2
 13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3
 14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4
 15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5
 16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6
 17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지식 사회학과 문화재생산 이론을 바탕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식 사회학의 등장배경
1.2 지식 사회학의 특징
1) 지식의 상대성
2) 지식의 존재구속성
1.3 지식과 교육 과정

2. 본론
2.1 문화재생산이론의 등장배경
2.2 문화재생산이론의 특징
2.3 문화재생산이론의 주요개념
2.4 번스타인의 언어사회화

3. 결론

4. 후기

5. 참고문헌과 기타 자료 출처

본문내용
위에 말한 바와 같이, 지식사회학의 발생 이전에는 지식은 그 자체 완결된 체계로 생각해왔다. 그러면 논리학 (logic)과 인식론(epistemology)만이 지식학이 된다. 논리학은 지식의 절차와 사고의 척도를 문제삼는 학문이고, 인식론은 지식의 기원, 구조, 방법, 타당성, 권리근거를 문제삼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서 지식사회학의 출현 이전에는 비록 지식을 문제삼기는 했지만 지식을 그 자체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고 내재적으로만 파악했으므로 지식은 논리학이나 인식론일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식은 그 자체의 완결된 체계일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지식이 그 자체 완결된 체계가 아니라면 지식은 내재적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외재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지식을 외재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가 바로 지식사회학이다.

1.2 지식사회학의 특징
1) 지식의 상대성
‘지식은 절대·보편적이 아닌 상대적·가변적인 것’
지식사회학은 이처럼 사회에서 당연하게 통용되는 지식이 ‘그 자체로 완전무결한 체계인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게 된다. 이는 19세기 자연과학의 급속한 발달과도 관련이 깊은데,당시는 많은 양의 지식이 축적됐고, 많은 부분에서 기존이 지식들과 충돌하던 시기였다. 철학자들은 이러한 지식의 충돌을 경험하면서 지식이 결고 완벽한 것은 아니며,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했다’ 는 창조론과 ‘생물종의 진화를 통해 인간이 탄생했다’는 진화론 중 어떤 주장이 ‘참된 지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 사실 어느 한 주장만이 옳다고 쉽게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과학적 증거나 이성의 문제로 치부하기보다는 받아들이는 사람의 신념이나 가치관이 더 큰 판단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식은 단순히 이성이나 논리로만 설명할 수 있는 객관적 사실이 아닌, 개인적-사회적 의식이 투영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만약 기존의 생각처럼 지식이 완전무결한 체계라면 창조론과 진화론의 상반되는 두 지식은 동시대에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실제 사회에서는 사람들의 가치관에 모두가 지식으로 인정받는 모순적인 상황이 일어난다. 지식이란 불변의 진리가 아닌, 사회적 요구에 따라 ‘만들어진 것’에 가깝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1)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 김천기 / 학지사 (3판)
2)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 오욱환 /교육과학사
3) 신교육사회학 - 차윤경 외 / 학지사
4) 지식사회학 - 송호근 / 나남

5) 네이버 지식인 ‘아비투스’ 검색 (2009/10/10)
http://blog.naver.com/badcom?Redirect=Log&logNo=120057103878
6) 네이버 ‘신교육사회학’ 검색 (2009/10/03)
http://blog.naver.com/kaido88?Redirect=Log&logNo=140072711866
7) 성대신문 (성균관대학교) 2009년 3월 18일자 기사‘지식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