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합성법

 1  중세국어 합성법-1
 2  중세국어 합성법-2
 3  중세국어 합성법-3
 4  중세국어 합성법-4
 5  중세국어 합성법-5
 6  중세국어 합성법-6
 7  중세국어 합성법-7
 8  중세국어 합성법-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국어 합성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마중글

대접글

Ⅰ. 합성어의 정의 및 구분

Ⅱ. 중세어 단어 합성법의 실례

1. 명사(체언) 합성법

Ⅱ. 중세어 단어 합성법의 실례

1. 명사(체언) 합성법

2. 동사합성법

3. 형용사합성법

4. 관형사합성법

5. 부사합성법

6. 반복합성법

배웅글


본문내용

Ⅱ. 중세어 단어 합성법의 실례

1. 명사(체언) 합성법
: 현대어의 명사합성법에서는 통사적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이 모두 확인되는 것과는 달리, 중세국어의 명사합성법에는 대부분 통사적 합성법만이 확인된다.

● 명사 + 명사

1) 대등적 합성어 : 두 명사가 대등하게 이어진 경우로, 두 요소 사이에 ‘-과/와’를 넣은 의미해석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예) 오좀[ + 오좀](=똥오줌) : >똥, 오좀>오줌
⇒ 糞尿 오조미라(月釋二十一, 77)
밤낮[밤 + 낮](=밤낮) :‘밤낮’은 ‘낮밤’으로 나타나기도 함.
⇒ 밤나재 精進야(金剛, 83)
쇼[ + 쇼](=마소) : 앞의 명사 어근 ‘’에서 ‘ㄹ’이 탈락하여 ‘’가 됨
⇒ 다가 어즈러이 면 쇼만도 디 몯니라(內訓二, 3)

2) 종속적 합성어 : 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거나 한정하는 경우.

① 명사+ㅅ+명사 : 두 명사 사이에 ‘ㅅ’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합성어.
여기서 쓰인 ‘ㅅ’은 현대국어의 ‘사잇소리’의 개념과 유사하다. 중세국어에서는 앞 명사의 끝소리가 유성음 유성음은 ‘ㅏ, ㅓ, ㅗ, ㅜ, ㅡ, ㅣ’ 등의 모음과 ‘ㄴ, ㄹ, ㅁ, ㆁ’ 등의 자음군을 말함.
으로 되어 있고, 뒤에 오는 명사의 첫 자음이 무성평자음(평장애음) 'ㄱ, ㄷ, ㅂ, ㅈ, ㅅ' 의 자음군을 말함.
으로 되어 있으면 대부분 ‘ㅅ’이 나타난다. 여기서 ‘ㅅ’은 ‘빗믈’과 같이 유성자음 앞에서도 쓰임.
참고문헌
고영근,『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구본관,「중세국어형태」,『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Ⅰ』, 국립국어연구원, 1996
김창섭,『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국어학회, 1996
남광우,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1997
안병희․이광호,『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2000
허웅,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