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

 1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1
 2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2
 3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3
 4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4
 5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5
 6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6
 7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7
 8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8
 9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9
 10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10
 11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11
 12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12
 13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화용론]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 들어가기 전에

1. 유머와 유머 텍스트

2. 대화 함축

01. 대화함축에 기댄 유머 텍스트의 분석

1. 양의 격률 위배에 의한 유머 텍스트

2. 질의 격률 위배에 의한 유머 텍스트

3. 관계의 격률 위배에 의한 유머 텍스트

4. 태도의 격률 위배에 의한 유머 텍스트

02. 결론


본문내용
2. 대화 함축

인간은 언어 사용에 있어 경제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로 발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언어를 이용할 때 추론(推論, inference)과 함축(含蓄, implicature)이라는 개념을 이용하게 된다. 이 두 가지 개념은 언어 경제성을 유지하는 아주 강력한 수단이며 근본원리라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이란 화자가 발화한 문자적 의미를 청자가 인식할 때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자적 의미를 통해 화자가 함축하는 의미를 청자가 추론해냈을 때 비로소 성립한다. 즉 함축은 화자와 관련되고 추론은 청자와 관련되는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의사소통이란 화자가 함축한 의미를 청자는 추론을 통해 파악했을 때 이루어진다. 아래의 예를 보자.

예시 2-1)
(사회 문화적 전제 : 사람은 일반적인 경우 밤에 잠을 자고 싶어 한다.)
○ 철수 : “커피 마실래?”
○ 영이 : "나 커피 마시면 밤에 잠 안와."


위 담화에서 영이가 함축한 의미는 ‘커피를 마시고 싶지 않다.’일 것이다. 표면적인 의미는 ‘영이는 커피를 마시면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는 단순한 사실의 진술이지만, 위 상황에서 철수는 어렵지 않게 영이가 커피를 마시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함축된 의미를 추론할 수 있다. 이것은 철수가 살아오면서 사회, 문화, 언어의 활용 등을 꾸준히 학습해온 결과다.
이처럼 함축과 추론은 일상생활에서도 아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마치 동전의 양면과도 같아 서로 나누어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화자의 발화는 문자적인 의미 이상을 함축하고, 청자는 화자의 발화에 명시된 것 이상의 의미를 추론해낸다.
참고문헌
이재원(2003), 유머텍스트와 대화함축, 텍스트언어학 15, 509 ~ 531
박영순(2007), 한국어화용론, 도서출판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