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

 1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
 2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2
 3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3
 4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4
 5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5
 6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6
 7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7
 8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8
 9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9
 10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0
 11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1
 12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2
 13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3
 14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4
 15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5
 16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사론] 문장 종결법과 높임 표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Ⅰ문장 종결법

1. 평서문
2. 의문문
3. 명령문
4. 청유문
5. 감탄문

Ⅱ높임 표현
1. 주체높임법

(1) 실현조건
(2) 간접높임
(3) 압존법

2. 객체 높임법

3. 상대높임법

(1) 종결 표현에 따른 상대높임법의 분류
(2) 격식체와 비격식체
(3) 상대 높임법의 실례(교육인적자원부 2002ㄱ: 17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② 평서문의 진술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일방적 진술과 청자의 질문에 대한 화자의 응답 진술로 구분할 수 있다. 평서형어미 ‘-다’는 형용사와 서술격조사에 쓰일 때에는 어간에 직접 붙기도 하지만 동사에 쓰일 때에는 그 앞에 선어말어미 ‘-는/ㄴ-, -었-, -겠-’을 앞세우는 것이 보통이다. ‘-다’가 동사의 어간에 직접 붙는 일도 있는데 이때에는 일기문이나 신문기사의 제호와 같은 단독적 장면에서 사실을 간략하게 진술하는 기능을 한다.
ㄱ. 시온이가 발표를 한다.
ㄴ. 네가 열심히 공부하면, 내가 너에게 컴퓨터를 사 주마.
⇒ 종결어미 '-마'도 평서문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학교문법)
ㄷ. “오늘은 날씨가 무척 춥다. 문부터 닫아라.”
ㄹ. “그래, 아직 잔다.”
ㅁ. 아침 5시에 일어나다. 6시에 약수터에 오르다. 7시에 집으로 돌아오다.
ㅂ. 한국 여자 농구 세계를 제패하다.


③ 평서문은 어떤 종결 어미로 종결되었더라도 간접 인용절로 안길 때에는 종결 어미가 모두 ‘-다’(‘이다’일 경우에는 ‘-라’)로 바뀐다.
ㄱ. 태은이는 어제 할머니 댁에 다녀왔다.
→ 태은이는 어제 할머니 댁에 다녀왔다고 말했다.
ㄴ. 태은이는 어제 할머니 댁에 다녀왔습니다.
→태은이는 어제 할머니 댁에 다녀왔다고 말했다.
ㄷ. 우리나라는 겨울이 춥다/춥네/추워요/춥습니다.
시온이는 우리나라는 겨울이 춥다고 말했다.
⇒ 간접 인용절로 안길 때면 다양하게 나타났던 종결어미(-다,-요,-습니다)가 모두 '-다'로 바뀐다.


④ 어미 ‘-다’는 선어말어미 ‘-더-, -리-, -니-’ 뒤에서는 ‘-라’로 교체되기도 한다. ‘-라’는 서술격조사와 인용조사 ‘고’ 사이에서도 나타난다.
ㄱ. 하더라, 하리라, 하느니라, 책이라고
cf. 하다, 한다 (하ㄴ다), 하였다, 하겠다…
ㄴ. 한다, 하네, 하오, 합니다, 해, 해요
ㄷ. -1 하더라, 하데, 합디다, 하더군, 하더군요
-2 하리라, 하리, 하리다, 하오리다

→ ㄱ은 ‘-다’의 출현환경과 비교해 보면 ‘-라’의 교체조건이 형태론적임을 알 수 있다.
ㄴ에서 하게체의 ‘하네’는 동사의 평서형으로서 형용사 아래에서는 ‘-(으)이’가 붙는 것이 표준어의 쓰임에 부합한다고 사전에 풀이되어 있다. 그러나 이 형태는 요즈음 ‘-네’로 흡수되어 가고 있다.
ㄷ에서는 편의상 직설법만 들었으나 이와 같은 등분은 회상법과 추측법에 걸쳐서도 설정
참고문헌
남기심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6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2003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4
이관규, 국어 교육을 위한 국어문법론, 집문당,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