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

 1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1
 2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2
 3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3
 4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4
 5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5
 6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6
 7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7
 8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8
 9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9
 10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10
 11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11
 12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인권법]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종군 위안부 문제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1. 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의 시선

2. 20세기 환향녀(還鄕女)

(1) 과거의 종군 위안부 - 공녀와 환향녀

(2) 현재의 종군 위안부

Ⅱ. 지금까지의 우리

1.역사적 흐름

(1)해방 직후

(2)1950년대

(3)1960년대 : 정신적,도의적,감정적 vs 이성적,실무적,개괄적

(4)1970년대

(5)1980년대 이후

2.민족주의

3.가부장적 이데올로기 - 순결

(1) 환향녀

4.Big brother

Ⅲ.結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과거의 종군 위안부 - 공녀와 환향녀

일본군에 의한 종군 위안부 “정신대”혹은 “종군위안부”,“위안부”등 그 정확한 호칭에 대해서는 90년대 초기, 공론화가 시작되었을 시기에는 여러 가지로 사람들 마다 다르게 불렀으나 최근에 나오는 단행본이나 논문들을 보면 “일본군에 의한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UN인권변호사 도츠카 에츠로가 UN인권위원회 보고서에서 정의한 “성노예”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생각 되며 현재 국제적으로도 통용되고 있다.
는 일본이 제국주의적 침략과정에서 식민지 조선 여성들을 대량으로 끌고 가 일본군대의 집단 성적 노예로 만든 행위다. 일본 정부는 1910년 조선을 합병하여 식민지화하고 그들이 칭하는 대동아 전쟁에 있어서 황국 신민으로서 당시 한국의 젊은 사람들을 징병, 혹은 징용 등의 명목으로 전선과 각종 공사장 , 탄광 등에 끌고 가 희생시키고, 일본 군부는 군대의 집단 성적 처리 도구로 조선의 여성들을 전쟁터로 내 몰았다. 이와 같은 일련의 사건은 불행하게도 과거 우리 조상들이 겪었던 사건들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더더욱 불행 한 사실은 이와 같은 사건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조차 과거와의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데 있다.

몽골군은 1231년(고종 18)부터 고려를 침략하기 시작하였다. 고려인들은 이에 맞서 수십년 동안 대대적인 항쟁을 전개하였는데 고려의 대부분 지역이 유린당하여 인적, 물적 피해가 막심하였다. 특히 고려 여인들이 몽골군에게 당한 수모는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성(城)이 점령당하면 성인 남자는 대부분 살해되고 남자애와 여자들은 사로잡혀 끌려갔다. 고려 여인들의 수난은 1259년(고종 46) 몽골과 강화가 성립된 후에도 계속되었다. 고려는 오랫동안 저항한 대가로 독립을 유지하였지만 속국의 처지였다. 몽골이 세운 원(元)은 많은 공물을 바칠 것을 강요하였으며 여기에는 사람, 특히 여성이 포함되었다. 고려남성의 일부는 거세되어 궁중의 환관으로, 고려여성의 일부는 처.첩, 궁녀, 잡역부 등으로 원에 끌려갔다. 이처럼 고려여성의 일부가 마치 공물처럼 원나라에 바쳐졌으니 이들이 바로 '공녀(貢女)'였던 것이다. 고려는 원이 요구하는 대로 해마다 여자를 바쳐야만 했다. 심지어 과부와 처녀를 색출하여 원나라에 보내기 위한 '과부처녀추고별감'이라는 관청을 두기도 하였다.
고려 여인들의 수난은 1259년(고종 46) 몽골과 강화가 성립된 후에도 계속되었다. 고려는 오랫동안 저항한 대가로 독립을 유지하였지만 속국의 처지였다. 몽골이 세운 원(元)은 많은 공물을 바칠 것을 강요하였으며 여기에는 사람, 특히 여성이 포함되었다. 고려남성의 일부는 거세되어 궁중의 환관으로, 고려여성의 일부는 처.첩, 궁녀, 잡역부 등으로 원에 끌려갔다. 이처럼 고려여성의 일부가 마치 공물처럼 원나라에 바쳐졌으니 이들이 바로 '공녀(貢女)'였던 것이다. 고려는 원이 요구하는 대로 해마다 여자를 바쳐야만 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정구선 ,중국으로 끌려간 우리 여인들의 역사-공녀,국학자료원,2002
이장희 .조일협정의 재검토가 필요하다-한일간의 국제적 현안문제,아시아사회과학연구 원.1997
김명기 . 정신대와 국제법,법지사2001
한상범 . 한일 협정의 문제점,법률행정연구원1994
김창록 . 경북대학교 교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국가 배상 소송. 종군위안부 문제의 법적 해결을 위한 하나의 모색‘ 인권과 정 의 제 267호 1998
정경아 . 위안부리포트(나는 고발한다).길찾기 2006
정대협 .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역사비평사 1997
도츠카에츠로 . 위안부가 아니라 성노예이다.소나무 2001
인권보고서 . 2000년도 인권상황개관.대한변협 2000
인권보고서 . 정신대 문제의 전개과정.대한변협 1992
혜진스님 . 동아시아와 근대의 폭력.동아시아평화인권위원회.삼인사 2000
강정숙 , 20세기 한국의 야망-일본군위안부문제 어떻게 볼것인가
강정숙 . 20세기 한국의 야만-평화와 21세기를 위하여.일빛사 2001


학위논문

강가람 . 2000년 여성국제법정을 통해 본 초국적 여성 연대의 가능성:한일 사회 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06
심수연 . 제2이사야서 종의 노래에 나타난 ‘우리’의 고백의 중요성 . 이화여대 대학원 2006
문영숙 . 종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 . 동아대 동북아국제대학원 2005
김정란 . 일본군‘위안부’운동의 전개와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 . 이화여대 대학원 2004
양수조 . 일제의 강제 동원령과 일본군 위안부 실태 . 충남대 교육대학원 2004
최지선 .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의 정치 . 서강대 대학원 2004
김성란 . 역사속의 여성의 고난에 대한 여성 신학적 접근 한신대 신학대 대학원 2001
안명주 . 세월에 가려진 슬픈 영혼에 대한 연구 . 원광대 대학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