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에 담긴 민중의 생활과 정서

 1  민요에 담긴 민중의 생활과 정서-1
 2  민요에 담긴 민중의 생활과 정서-2
 3  민요에 담긴 민중의 생활과 정서-3
 4  민요에 담긴 민중의 생활과 정서-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요에 담긴 민중의 생활과 정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육담개재요의 형태로 나타나는 민요

2. 통속민요의 구분과 난봉가의 정의

Ⅲ. 결 론
본문내용
전라북도 고창에서 주로 콩밭을 맬 때 불렀던 '밭매는 소리' 이다. 「임석재채록 한국구연민요」, 임석재, 집문당, p.117 민요 가사 발췌.
노동요를 부를 때는 이처럼 일을 하며 재미삼아 성적인 묘사를 하는 노래를 부르기도 하였다. 다른 예로 "산천에 땅가시는 처녀뒤궁칠 찌르는데/ 이십세기 총각이 처녀하나 못찌르냐", "세류같은 가는허리 한아름듬썩 안은후에/ 볼대이고 혀끝빨며 양다릴들고 시북짬 즛띨세/ 천지간에 첨난맛이라" 「한국 민요의 현상과 본질」, 류종목, 민속원, p.160 민요 가사 발췌.
등의 솔직한 문구를 노래한 예도 있다. 이렇듯 적나라하고 해학적인 성의 표현을 함으로써 일할 때의 피로감을 없애고, 나아가 이를 통해 억압된 현실 속에서의 해방감마저 느낄 수 있게 되었을 것이다.

2. 통속민요의 구분과 난봉가의 정의

통속민요는 앞서 서론에서 구분지었던 토속민요와는 대비되는 개념으로 비교적 정형화 되어있다. 토속민요는 전문가에 의해 다듬어져 통속민요로 불려지기도 한다. 통속민요는 시대와 지역을 가리지 않고 널리 알려지기 쉽기 때문에 대중민요(大衆民謠)라 불리기도 하며, 특정 지역에서 토속민요화 되어 현장에서 노동요 등으로 불리기도 하고 유희요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http://www.sori.jeonbuk.kr/sori_2/003/001.html 통속민요의 정의 참고.

- 2 -
그 종류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 , , , , 등을 비롯해 , , , , 등이 있으며, 류 역시 이 통속민요의 한 부류라고 할 수 있다.
난봉가의 '난봉'은 '만나기 어렵다(難逢)'는 뜻으로 해석되는데, 「20세기 한국민요 변화의 한 양상ㅡ 의 경우를 중심으로ㅡ, 김영운, 한국민요학회, 한국민요학, 2004」에서 난봉가의 정의 발췌.

- 3 -
주로 남녀간의 갈등을 노래한다. 난봉가에는 , , , , , 등이 있으며, 그 중에 한 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서 시집살이 삼 년 만에 /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얘야 아가 며늘아가 /

진주 낭군(남편) 오실 터이니 진주 남강 빨래가라 / 진주 남강 빨래가니 산도 좋고 물도 좋아 /

우당탕탕 두들기는데 난데없는 말굽 소리 / 곁눈으로 힐끗 보니 하늘같은 갓을 쓰고 /

구름 같은 말을 타고서 못 본체로 지나더라 /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은 빨래 검게 빨아 /

집이라고 돌아와보니 사랑방이 소요하다 /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얘야 아가 며늘아가 /

진주 낭군 오시었으니 사랑방에 들러가라 / 사랑방에 올라보니 온갖 가지 안주 놓고 /

기생첩을 옆에 끼고서 권주가를 부르더라 / 건넛방에 내려와서 아홉 가지 약을 먹고 /

비단 석 자 베어 메어 목을 매어 죽었더라 / 진주 낭군 이 말 듣고 버선발로 뛰어나와 /

너 이럴 줄 내 몰랐다, 사랑 사랑 내 사랑아 / 화류 걱정 삼년이요 본댁 걱정 백년인데 /

너 이럴 줄 내 몰랐다, 사랑 사랑 내 사랑아 / (어화둥둥 내 사랑아)


앞에서 거론했던 육담민요가 해학적이었다면 난봉가의 경우는 그 성격이 가히 한(悍)스럽다 하겠다. 특히나 이 '진주난봉가'는 시집살이 노래의 일종이기도 한데, 시댁 식구들과의 갈등을 노래하는 민요라고 할 수 있다. 시집살이 노래의 많은 곡들이 시집 식구들에 대한 저항감만을 내비치는데, 진주난봉가의 며느리는 그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게까지 되고, 더구나 낭군이 버선발로 뛰어나와 후회를 하는 장면에서는 가슴이 미어질 만큼 애절함이 느껴진다.

Ⅲ. 결 론

민요는 한과 신명의 정서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의 일부이다. 생활과 노래가
참고문헌
「한국 민요의 현상과 본질」, 류종목, 민속원
「임석재채록 한국구연민요」, 임석재, 집문당
「노래를 지키는 사람들」, 니승만/고혜경, 민속원
「(18세기에서 20세기초)한국 시가사의 구도」, 고미숙, 소명
「한국 구전민요의 세계」, 김현선, 지식산업사
팔도소리 http://preview.britannica.co.kr/spotlights/paldosori/pl.html
윤소리 국악한마당 http://www.folk-song.co.kr/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