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연구 레포트

 1  최치원 연구 레포트-1
 2  최치원 연구 레포트-2
 3  최치원 연구 레포트-3
 4  최치원 연구 레포트-4
 5  최치원 연구 레포트-5
 6  최치원 연구 레포트-6
 7  최치원 연구 레포트-7
 8  최치원 연구 레포트-8
 9  최치원 연구 레포트-9
 10  최치원 연구 레포트-10
 11  최치원 연구 레포트-11
 12  최치원 연구 레포트-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최치원 연구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최치원」수록 문헌

2. 「최치원」의 작자와 창작 시기 문제 -『수이전』과 관련하여

1) 최치원 원작설

2) 신라말 고려초 문인설

3) 조선조 문인 재창작설

3. 「최치원」의 장르 문제

1) 전설(傳說)로 보는 견해 - 조동일(1977)

2) 전기소설(傳奇小說)로 보는 견해

4. 「최치원」에 대한 논의의 연구사적 기여

5. 「최치원」- 고등학교 18종 문학 교과서 미수록


본문내용
③ 중국 남송 시기(1160) 장돈이에 의해 편찬된 『육조사적편류』 건강부의 연혁, 산천, 고분 등에 관한 각종 자료를 취합하여 엮은 일종의 인문지리서
의 「쌍녀묘」조에 「최치원」과 동일한
이야기 “「쌍년분기」에 다음과 같이 일렀다. 계림 사람 최치원이라는 이가 있어 당 건부 연간에 율수현위로 보임되었다. 일찍이 초현관에서 쉬었는데 그 앞 언덕에 ‘쌍녀분’이라 불리는 무덤이 있었다. 그 내력을 물어 보았으나 아무도 아는 이가 없었다. 그래서 시를 지어 위문했다. 이 날 밤에 감동한 두 여인이 이르러 사의를 표하면서 말하기를 ‘저희들은 본래 선성군 개화현 마양향에 사는 장씨의 두 딸입니다. 어려서는 붓과 벼루를 가까이 했으며 자라서는 재주가 있다고 자부했습니다. 그런데 뜻밖에도 부모님께서 소금 장수 따위의 교양 없는 하찮은 자들을 우리의 배필로 삼으시기에 이 때문에 분하여 죽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천보 6년에 이곳에 함께 묻히었습니다.’라고 했다. 조용하게 나긋한 이야기들을 하다 새벽이 되어 헤어졌다. (썅녀묘는) 율수현 남쪽 백십 리 되는 곳에 있다.”
가 요약되어 있다. 그리고 그 출전을 「쌍녀분기」로 밝히고 있다. 「쌍녀분기(雙女墳記)」는 누구에
의해 언제 어떻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두 여인의 출신지만 바뀌어 있을 뿐 「최치원」과 기본 줄거리
는 거의 같다.

※ 「쌍녀분기(雙女墳記)」와 「최치원」과의 관계

1) 중국의 「쌍녀분」설화를 바탕으로 「최치원」이 이루어졌다는 견해
- 『육조사적편류』에 실린 「쌍녀묘」를 보고 누군가가 부연․윤색한 것이 『수이전』 소재 「최치원」이
고 이를 다시 축약한 것이 『대동운부군옥』의 「선녀홍대」라고 주장 (한석수)
2)「최치원」이 중국으로 역수입되었을 것이라는 견해
- 박인량이 『수이전』의 작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추정을 바탕으로 『수이전』이 중국에 전해져 『육조사적
편류』에 전재된 것으로 파악하면서, 박인량이 송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전해졌을 가능성 제기(김종철)
3) 최치원이 중국에 있을 때 지었다는 견해
① 최치원이 중국에서 「쌍녀분기」를 지은 다음 귀국 후 『신라수이전』에 편입시켰고 김척명에 의해 증보
개작이 있었으며 성임의 『태평통재』에서 제목의 변개가 이루어지는 4단계의 변이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론 (이검국․최환)
② ㉠ 쌍녀묘의 실증적 고찰
- 1996년 중국 북경대학팀에 의해 「최치원」의 공간적 배경인 쌍녀분 대한 발굴 조사가 행해졌다. 쌍
녀분 발굴 기록을 작품의 내용과 관련하여 살펴본 결과, 시․공간적 배경에 대한 작중의 기본 설정
은 물론 대화나 삽입시에 표출된 구체적인 작품 내적 언술(연못, 초현관 등의 주변 환경, 부호의 무
덤이라는 사실, 석문의 형태, 장씨 집거촌의 존재 등)과도 밀접하게 부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
점은 최치원이 율수 현위에 부임해서 겪은 체험적 사실이 작품 형성의 직접적 바탕이 되었음을 암시
해 준다.
㉡ 중국 「쌍녀분기」의 기록 검토
- 「쌍녀분기」는 송『육조사적편류』외에 송 『경정건강지』, 원 『지정금릉신지』(쌍녀분기 최치원
작이라고 밝힘), 청 정서7년 『고순현지』, 청 강희 『고순현지』, 민국7년 『고순현지』등에도 기
록되어 있으며, 이들 6종의 쌍녀분 관계 기록들은 최치원에 의해 창작된 를 요약․수록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의 문헌이 본래의 내용을 철저하게 고증적 입장에서 전달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데 비해, 후대의 문헌에서는 그 내용이 점차 축약되면서 새로이 파생된 또 다른
설화적 변이의 결과를 수용하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1997 개정판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2․3 (제4판), 지식산업사, 2005.
한국고전소설편찬위원회 편, 『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1990
지준모,「전기소설의 효시는 신라에 있다」-을 해부함-,『어문학』32, 한국어문학회, 1975.
조수학, 「최치원전의 소설성」,『영남어문학』2, 영남어문학회, 1975.
임형택,「나말여초의 전기문학」,『한국한문학연구』5, 한국한문학연구회, 1980.
이헌홍,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적 구조」,『수련어문학집』9, 부산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1982.
박일용,「명혼소설의 낭만적 경향성과 그 소설사적 의미」,『관학어문연구』17, 서울대, 1992.
박희병,「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관학어문연구』17, 서울대, 1992.
박희병,「전기적 인간의 미적 특질」,『민족문화사연구』7, 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종철,「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민족문화연구』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장효현,「전기소설 연구의 성과와 과제」,『민족문화연구』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 1995.
김현양,「최치원의 장르 성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민족문화사연구』10, 민족문학연구소, 1997.
소인호,「수이전의 저자와 문헌 성격에 관한 반성적 고찰」,『고소설연구』3, 한국고소설학회, 1997.
소인호, 「고려시대 전기의 유형과 사적 전개양상」, 『숭실어문』14, 숭실어문학회, 1998.
소인호, 「의 작자와 원작의 문제」,『고소설사의 전개와 서사문학』, 아세아문화사, 2001.
이동환, 「쌍년분기의 작자와 그 창작 배경」,『민족문화연구』 3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