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

 1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1
 2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2
 3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3
 4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4
 5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5
 6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운몽 -텍스트연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김춘택의「북헌잡설(北軒雜說)」
2. 이본(異本)
3. 국문창작설
4. 한문창작설
5. 한문과 국문이원표기설

Ⅲ. 결론
본문내용
2. 이본(異本)
2-1. 필사본
① 한문본 : 노존본(老尊本)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구운몽. 제 1장제가 ‘노존사남악강묘법 소파미석교봉선녀(老尊師南嶽講妙法 少婆彌石橋逢仙女)’ 운운(云云)으로 시작하기에 첫 두 글자를 따서 이를 ‘노존본’이라 부른다. 이 노존본은 1725년 이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서울대학본과 국문노존본으로 파생되었다.
② 국문본 이가원본 : 1책, 무분회(無分回), 한문/한시 등의 직역으로 보아 번역본임이 확실. 이 번역본을 보고서 구운몽을 한글 소설이라고들 봤다. 국문본 중에서 가장 문체가 아름다워서, 가장 좋은 작품이라고들 한다. → 唯一書館本 유일서관본이나 영역본의 대본이 되었음. 국문본 중 최선본(最善本).
③ 국문본 서울대본 : 4-4책, 16회 → 궁녀들이 궁궐에서 쓰던 필체이다. 궁녀들은 궁중에서 ‘궁체’를 교습시켰기 때문에 글씨체가 다들 아름답게 비슷했다.

2-2. 방(판)각본(목판본)
① (한문)을사본(1725) → 경판본, 완판본(1862) 파생
② (한문)계해본(1803, 6권 3책, 16회본) → 신번구운몽(新飜九雲夢 1913.4), 유일서관본(唯一書館本 1913.7), 박문서관본(博文書館本 1917.2) 등으로 파생
③ (국문)경판본 : 1책, 무분회, 19세기 중엽 이전. 이본 중 가장 간략함. → 국문은 19C나 되어서 나온 것.
④ (국문)완판본 : 2권 3책, 무분회, 한문본의 축약본. 판각 연대 (1862, 철종 13)

2-3. 활자본
① 신번구운몽(新飜九雲夢, 1913) : 경성 동문관(東文館) → 여기서부터 ‘고대소설’이라 불리는 활자본이 찍혀서 나왔다. 활자본은 동문관이 가장 먼저였다.
② 연정 유일서관본(演訂 唯一書館本, 1913) : 1책, 53회, 이가원본과 동계. 후대 활자본(박문, 회동, 영창)들의 대본 → 이후로부터 여러 출판사에서 많이 찍어내기 시작했다.

3. 국문창작설
김태준이「조선소설사」에서 구운몽의 국문창작설을 가장 먼저 말했고 이후 이명구 교수가 국문본인「서울대학본」으로 국문창작설을 확정․추론하였다. 이 국문원본설은 대부분의 국문학 및 고대소설 관계 논자들이 이를 따르고 있으나 정규복 교수에 의해 꾸준히 도전받았다. 지연숙,「구운몽 텍스트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1


2-1. 김태준 호 천태산인(天台山人, 1905~1949)

구운몽이 국문소설이라는 것을 최초로 발설했다.「朝鮮小說史」에서 구운몽의 국문원작설과 김춘택의서포의 한글로 지은「남정기」는 김춘택이가 일부러 수고스럽게 한자로 번역하였다. 이로 보면 서포는 국문소설가이었던 것이 분명하고「구운몽」과 「남정기」는 서포의 원작인 정음본(正音本)과 춘택의 한역한 한문본과의 두 종류가 이적부터 생겼다. 김태준,『증보 조선소설사』, 학지사

한역설을 제창했다.

이유 ①「남정기」에 대한 국문원본설과 김춘택의 한역본의 그 뚜렷한 기록과 서포의 탁월한 국문창작론이 함께 작용했다.
② 서포가 국문으로 소설을 많이 썼다.
참고문헌
정규복,『구운몽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4
설성경,『구운몽연구』, 국학자료원, 1999
정규복,「구운몽 텍스트의 문제」, 어문논집, 1992
다니엘 부쉐,「구운몽저작언어변증」,『한국학보』68, 일지사, 1992
지연숙,「구운몽 텍스트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1
김병국,「구운몽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일지사,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