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복사저포기 연구

 1  만복사저포기 연구-1
 2  만복사저포기 연구-2
 3  만복사저포기 연구-3
 4  만복사저포기 연구-4
 5  만복사저포기 연구-5
 6  만복사저포기 연구-6
 7  만복사저포기 연구-7
 8  만복사저포기 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복사저포기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2.1. 의 서사적 특성
2.2. 불교적 인연론의 내포적 의미
(1)하씨의 믿음과 불교적 인연론
(2)양생의 소망과 불교적 인연론
2.3. 의 환상성
2.4. 와 김시습
3. 학교 교육에서의 전기소설
본문내용
2. 연구


2.1. 의 서사적 특성

는 양생과 귀녀(鬼女)의 만남과 이별의 이야기이다. 비교를 위해 인물과 화소를 추상화하여 순차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X는 Z로 인해 문제적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귀녀는 왜적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나) Y는 X를 만나게 되었다.(양생은 귀녀를 만나게 되었다.)
(다) Y는 X의 소망을 들어 주었다.(양생은 귀녀의 소망을 들어 주었다.)
(라) Y는 X와 헤어진 후 변모되었다.(양생은 귀녀와 헤어진 뒤 종적을 감췄다.)

이러한 서사구조와 유사삽화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로는 『수이전』의 과 『삼국유사』의 , 『고려사』열전의 등이 있다 첫째로『금오신화』창작의 내적 연원으로서의 설화텍스트는 엄밀하게 『금오신화』창작 이전의 것이어야 한다. 그러한 설화 텍스트는 본래의 모습을 완전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설화의 양식적 속성상 그 서사 구조가 심각하게 변질되었다고 생각되지는 않아 텍스트로 선정했다. 둘째로 『금오신화』와 비교되는 설화의 텍스트를 모티브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선정한다면 그 대상의 폭은 엄청나게 확대된다. 따라서 비교 대상의 기준을 서사텍스트의 내적질서라 할 수 있는 이야기의 서사구조로 한정했음을 밝히는 바이다.
. 이것은 가 우리 서사 문학 전통과의 긴밀한 관련 속에서 창작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서사구조와 유사화소를 공유하고 있다고 해서 서사방식까지 동일한 것은 아니다. 결말에서 서사적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을 잠시 제쳐둔다면 대부분 일상적 인물의 현실적 성취를 서사화하고 있는데 비해 는 오히려 현실에서의 좌절을 서사화하고 있다. 와 같이 일상적 인물의 소망이 신이한 인물과의 만남을 통해 실현되고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 인물이 좌절하는 이야기는 설화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참고문헌
임형택,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김현양, 「의 서사적 특성과 장르적 위상」,『열상고전연구』제15집, 열상고 전연구회, 2002.
신재홍, 「금오신화의 환상성에 대한 주제론적 접근」, 『고전문학과 교육』제1집, 청관고전 문학회, 1999.
설중환, 「만복사저포기 - 분석심리학으로 읽어보기」, 『한국학연구』제15권,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1.
박일용, 「만복사저포기의 형상화 방식과 그 현실적 의미」, 『고소설연구』제18권, 한국 고소설학회,2004.
박희병, 「금오신화의 소설미학」, 『한국한문학연구』제18권, 한국한문학회, 1995.
최기숙, 『환상』(문학의 기본개념 3권),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설중환, 『금오신화 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9.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