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원 생애와 연구사

 1  박태원 생애와 연구사-1
 2  박태원 생애와 연구사-2
 3  박태원 생애와 연구사-3
 4  박태원 생애와 연구사-4
 5  박태원 생애와 연구사-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박태원 생애와 연구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박태원의 생애

2. 박태원 연구사 검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박태원은 분가 후 가난한 생활과 잦은 이사를 경험했다. 이때의 체험은 ‘자화상 1, 2, 3’이라는 부제가 붙은 , , 에 나타나 있다. 경제적 어려움과 황폐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그의 모더니즘 문학은 빛을 잃어갔다. 강화되어가는 군국주의 체제하에서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제국주의 선전에 동조하고, 에 가담해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작품을 발표한다. , , , 등이 그것이다. 이전의 문학적 기교는 퇴색하고 신변잡기를 소재로 한 소설이나 통속소설을 쓰고, 중국소설과 야담의 번역, 중국의 고전 정리 작업을 했다. 해방 직후에 발표한 , , 등에서는 문학적 관심이 모더니즘에서 민중의 역사와 삶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어지는 일련의 역사소설들을 통해 계급간의 갈등과 억압받는 민중의 삶을 조명하였다.
박태원의 사회주의 문학인으로서의 행적은 해방과 더불어 시작된다. 임화, 이태준, 김남천, 이원조 등이 중심이 된 ‘조선문학건설본부’에서 소섧의 중앙위원회 조직 임원을 맡았고, 이어지는 ‘조선문학가동맹’에서도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정된다. 그러나 그는 좌익 문단 활동에 적극적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948년 남한만의 정부가 수립되고 ‘조선문학가동맹’이 해체된 이후 김기림, 정지용 등과 함께 ‘보도연맹’에 가입해 그동안의 정치적 과오를 청산하고 민족문학인으로 새롭게 출발한다는 전향 성명서를 발표한다. 1950년(42세) 6·25가 발발하자 서울에 온 이태준, 안회남, 오장환 등의 좌익문인들과 합류하였다가 인민군이 이북으로 패퇴하여 가자 이들을 따라 월북하였다.
월북 후 박태원은 종군기자로 6.25에 참가하여 종전까지 활동하였다. 종전 후 평양에 정착하고, 이태준의 후원 아래 국립고전예술극장의 전속작가로 선정되어 창극 대본을 썼다. , 등을 쓰고, ≪조선창극집≫을 편찬하기도 한다. 1955년(47세) 정인택의 미망인 권영희와 재혼하고, 역사를 위조하라는 북한당국의 명령을 거역해 함북강제노동수용소에 수용되기도 하였으며, 시골 소학교 교장으로 발령받고 작품 활동을 금지당하기도 했다. 이 시기 그는 갑오농민전쟁에 관한 자료 수집에 집중하고, 1960년(52세) 작가로 복귀한 이후 1963-1964년에 의 전편인 를 발표한다. 1965년(57세) 망막염으로 실명하고, 1975년(67세)에는 고혈압으로 전신불수에 이른다. 중년에 고초를 겪기는 했지만 숙청되지 않고, 만년에는 당으로부터 대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정치적 야심도 없고, 사상적으로 비판받을 일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 최고의 역사소설로 평가받는 은 1977년(69세)에 집필하기 시작해서 1986년(78세)에 완성·출간되었다. 그는 그 해 7월 10일 세상을 떠났다.

2. 박태원 연구사 검토

참고문헌
김상태, ≪박태원≫,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김홍식, ≪박태원 연구≫, 국학자료원, 2000.
손광식, ,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99.
오성표, , 건국대학교대학원, 1995.
임소월, , 단국대학교대학원, 1993.
황영미, ,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