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

 1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
 2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2
 3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3
 4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4
 5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5
 6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6
 7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7
 8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8
 9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9
 10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0
 11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1
 12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2
 13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3
 14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4
 15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5
 16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6
 17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경제론] 중국의 원유확보 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중국의 원유 확보 전략

1) 국내 원유의 적극적인 개발
2) 해외 유전 개발 투자의 확대
3) 원유 도입선 및 수송로의 다변화
4) 석유 비축시스템의 확립
5) 적극적인 석유 외교의 추진

3. 중국 원유 확보 전략의 파급 효과와 시사점

4. 나가며

본문내용
3) 원유 도입선 및 수송로의 다변화

(1) 원유 도입선의 다변화

중국은 1990년대 전반까지는 대경 원유 등의 국내 저유황 원유 처리를 위한 정제시설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수입 원유는 대부분 인도네시아나 오만산 원유 등 국내 원유 성상과 유사한 유종에 집중돼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원유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앙골라, 이란, 노르웨이, 베트남 등의 지역으로 도입선이 다변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원유 도입선의 다변화에도 불구하고, 중동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는 오히려 높아져 50%를 상회하고 있다. 이는 급속히 증대하고 있는 원유 수요를 소화할 수 있는 산유국들이 중동 지역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Sinopec이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탈유황 설비를 도입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값이 싼 중동산 고유황 원유 수입을 확대한 것도 중동 의존도를 높인 이유 중 하나이다.

(2) 원유 수송로의 다양화

중국의 원유 도입량 규모를 지역별로 보면 중동, 아프라카, 아시아, 구소련, 유럽의 순으로 되어있다. 수입 원유의 대부분은 선박을 통해 수송이 이루어지며 극히 일부는 카자흐스탄에서 철도를 통해 수송되고 있는데, 중국의 주요 원유 수송로는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는 노선이다.
현재 중동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수송은 ① 페르시아만 → 희망봉 → 유럽․북미, ② 페르시아만 → 인도양 → 말라카 해협 → 남중국해 → 한국․중국․일본, ③ 페르시아만 → 수에즈 운하 → 지중해 → 유럽․북미 등 3개 루트로 이뤄진다. 이 중 2개 루트는 이미 미국이 장악하고 있으며, 나머지 하나인 아시아 지역으로 가는 루트마저 통제한다면 미국은 세계의 석유 수송로를 모두 통제하는 셈이다. 때문에 미국은 인도양부터 남중국해에 이르는 해상 수송로를 장악하기 위한 전략을 은밀히 추진해왔다.
이와 같이 중국은 중동으로부터 수입되는 석유와 가스의 해상 수송로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이 확대되자, 이로 인한 수송로 봉쇄 가능성 등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후진타오 주석은 ‘말라카 딜레마’가 중국의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의 핵심적인 고려 요소라고 말하기도 하였으며,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에너지 연구소는 IEA와 공동으로 작성한 ‘2004 세계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서 말라카 해협을 중국 에너지 확보의 생명선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따라서 원유 수송에 있어 말라카 해협에 대한 지나친 의존으로 인한 원유 공급의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해, 중국은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원유 수송로를 검토하고 있다. 중국능원연구소의 보고서에 의하면 가까운 장래 중국의 원유 수송로는 남․북․서의 3개 방향이 형성되어, 해상, 육상, 파이프라인 등의 수송 방식에 의해 6대 수송로의 구축이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구상단계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계획은 결정된 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