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

 1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
 2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2
 3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3
 4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4
 5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5
 6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6
 7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7
 8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8
 9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9
 10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0
 11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1
 12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2
 13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3
 14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4
 15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5
 16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6
 17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7
 18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8
 19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19
 20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및교육평가] 항존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항존주의(Perennialism)의 배경
     Ⅰ-1.   항존주의의 개념
     Ⅰ-2.   시대적 배경 
     Ⅰ-3.   철학적 배경
Ⅱ. 대표적 사상가
     Ⅱ-1.   R.M. Hutchins
    Ⅱ-2.   Motimer Ardler
               ◉ 파이데이아 제안
    Ⅱ-3.   Jacques Maritain
            ◉ 마리땡의 인격도야론
  
 Ⅲ.  항존주의 교육철학의 고찰
   Ⅲ-1.  항존주의 교육 사상의 흐름
   Ⅲ-2.  항존주의 교육 원리
   Ⅲ-3.  항존주의 교육이론의 의의

 Ⅳ.  항존주의의 한계 및 비판점
 Ⅴ.  우리나라 교육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Ⅰ. 항존주의(Perennialism)의 배경
 
Ⅰ-1.  항존주의의 개념

 항존주의의 항존(perennial)은 “항구적”, “영원한” 이라는 어의를 갖는다.   종교적 세계관 위에서 철저한 반과학주의, 탈세속주의, 정신주의로서 절대 불변하는 진리의 보편성과 이성적 존재로서의 보편적 인간에 대한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항존주의는 현대 인류와 교육은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방향감각을 상실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교육은 영속적, 항구적, 보편적, 근본적인 것을 추구하여야 한다고 보며 진보주의를 가장 싫어하고 이에 혹독한 비판을 가하면서 등장하였다.   대표적 학자는 R.M. Hutchins, J. Maritain, W.F. Cunningham, M.J. Adler 등이 있다.


  
Ⅰ-2.  시대적 배경
  
  항존주의는 본질주의가 진보주의를 철저히 비판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존주의는 진보주의 교육이념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나온 하나의 교육이념을 말하며, 1930년대 싹트기 시작하였다.  예컨대, 진보주의의 경우는 과학주의, 세속주의, 물질주의인데 반하여 항존주의는 반과학주의, 탈세속주의, 정신주의이며 진보주의가 ‘변화의 원리’를 강조한데 반하여 항존주의는 ‘절대적 원리’로 돌아갈 것을 강조하고 있다.
 허친스 등은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길은 불변하는 신앙과 진리와 가치에 복귀함으로써 인간에게 정신적 확실성이라는 지주를 부여하고, 오직 사람만이 가지는 이성을 단련시키고 계발시킴으로써 그 행동을 규제하는 일이라고 주장하며, 올바른 방향감각을 잃고 그릇된 가치관에서 방황하며 타락해 있는 현대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하여 교육의 본연의 자세를 되찾게 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고 확신함으로 시작되었다. 
   
Ⅰ-3. 철학적 배경

     항존주의의 철학적 배경은 實在論에 있는데, 즉 "이성"의 뿌리로부터 나온 관념론과 마찬가지로 실재론에 근거한 항존주의는 인간의 본질이 불변하기에 교육의 기본원리도 불변하다는 믿음을 토대로 보수적 내지는 전통적 교육관을 표방하고 있다. 

이는 고전적 실재론, 또는 기독교적, 종교적 실재론에서 찾을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관을 따르는 세속적 항존주의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존(實存)의 원리를 따르는 종교적 항존주의로 대별된다.  전자는 허친스의 주장에서, 후자는 마르탱의 주장에서 잘 나타난다.  전자는 고전적(古典的) 인문주의(人文主義)의 관점을 갖고 있는 반면에 후자는 Neo -Thomism(신토마스주의)의 관점을 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