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1
 2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2
 3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3
 4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4
 5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5
 6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6
 7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7
 8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8
 9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9
 10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10
 11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11
 12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개념과 발전계보

• 기본 신념

• 일반적 특징

• 장 점

• 단 점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기초 : 형식도야 이론
※ ‘형식’에 대한 설명

※ ‘도야’에 대한 설명

※ 형식도야이론에 대한 비판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1. 분과형 교육과정 (subject matter curriculum)

2. 상관형 교육과정 (corelated curriculum)

3. 융합적 교육과정 (fused curriculum)

4. 광역형 교육과정 (broad fused curriculm)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실례, 장단점

1.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1) 활동중심 교육과정

2) 생활중심 교육과정

2.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실례

(1) Dewey의 교육과정

1) Dewey의 교육론

2) 경험의 재구성

3) Dewey의 실험학교 교육과정

(2) Kilpatrick의 교육과정

1) Kilpatrick의 교육과정의 의미

2) 교육의 중심개념

3) 교사의 역할

3.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4. 경험중심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교육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기초 : 형식도야 이론
• 형식도야이론은 19세기의 능력심리학(faculty psychology)에 근거하는 것으로서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의 정신은 지각, 기억, 추리, 상상, 감정, 의지 등과 같이 뚜렷이 구분되는 6가지 능력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이 능력들은 우리 몸의 근육에 비유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음의 근육, 즉 심근이라고 한다. 형식도야 이론에서의 형식이란 바로 이 심근을 뜻하는 것이며, 형식의 도야란 곧 6가지 심근의 연마를 뜻한다. 형식도야설은 능력연마설이라고도 불린다. 형식의 도야는 전통적인 인문교과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교육목적이다. 우리 몸의 근육이 반복적 사용으로 단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6가지의 심근이 지속적인 훈련과 연습으로 도야될 수 있다고 한다. 매일매일의 덤벨운동이 우리의 팔과 가슴의 근육을 단련시켜 주듯이 우리의 심근도 몸의 근육처럼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더욱 발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심근을 도야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사용, 즉 연습과 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형식’에 대한 설명
3각함수를 공부하는 경우와 3국의 역사를 공부하는 경우, 3각함수에서는 ‘싸인의 정의’, 3국의 역사 공부에서는 ‘세 나라의 건국연대’를 기억해야 한다. 이 때 ‘싸인의 정의’와 ‘세 나라의 건국연대’는 그 내용은 다르지만 기억이라는 공통된 ‘형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도야’에 대한 설명
한자어로서의 ‘陶冶’는 흙을 빚거나 쇠를 녹여서 물건을 만드는 것을 가리키며 일상적인 의미로는 연마(硏磨)와 같이 심신을 갈고 닦는 것을 뜻한다. 우리말의 ‘도야’나 ‘연마’는, 그것에 해당하는 원래의 영어 단어(discipline)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완성단계에 도달하기까지 오랜 기간을 두고 여러 번 되풀이하여 반복적으로 연습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 교과를 공부한다는 것 또는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가르치고 배운다는 것
= 각각의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내용을 정신능력(형식)과 결합․적용 시키는 것
• 형식도야 이론의 배경 : 능력심리학
- 능력(faculty)이라는 용어는 형식도야 이론의 ‘정신능력’, 즉 ‘형식’과 동일한 의미
- 능력심리학에서는 정신능력이 마치 우리 몸의 여러 기관(소화기관, 순환기관, 감각기관 등)이 각각 상이한 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마음 속에서 각각 상이한 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사실상, 심리학 개론 교과서에는 때로 옛날의 심리학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사람의 머리 모양을 그려놓고 그 안을 구획하여 각각의 칸에다가 기억, 추리, 상상 등 여러 가지 능력의 이름을 적어놓는 경우가 있다. 중세 말기나 르네상스 당시에 실지로 그런 그림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쨌든 그것이 능력심리학의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와 같이 우리 마음 속에서 상이한 부위를 차지하고 있는 능력이 바로 능력심리학에서 말하는 능력-정확하게 말하면 부소능력(部所能力, faculty)-이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몸의 근육에 비유되는 ‘마음의 근육’으로서, 마치 몸의 근육이 적절한 운동으로 단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적합한 교과나 학습자료를 계속적으로 반복 연습함으로써(즉, 형식도야에 의하여) 개발될 수 있다.
- ‘일반적 전이’를 설명해줌
‘전이’는 한 사태에서 획득된 능력이나 특성이 그와 유사한 다른 사태에도 유효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교과를 통하여 획득되고 개발된 능력은 교과 이외의 사태에서도 그것과 동일한 능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효력을 발휘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