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

 1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1
 2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2
 3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3
 4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4
 5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5
 6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6
 7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ф 들어가는 글


1. 학습 경험의 의미

(1) 경험과 교육
(2) 학습 경험


2.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

(1) 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2) 수업 내용의 선정과 조직
(3) 학습 활동의 선정과 조직


ф 나가는 글
본문내용
④학습경험의 조건
1)교육목표에 비추어 타당한 경험이어야한다.
2)학습경험의 효과가 얼마나 있느냐의 문제이다. 특정한 개념이 변별도, 통합도, 능률도, 일반성을 어느정도 갖고 있느냐
3)학습원리에 맞는 경험이어야 한다. (학습자의 학습심리를 기초로 해야한다.)
4)사회적 가치가 있는 경험이어야 한다.
⑤ 학습경험의 계획
1)계획의 개념: 학생들에게 수업내용을 제공하는 일과 수업 내용과 관련된 학습활동을 계획하는 것이다. ex> 교과서 3쪽(내용 요소)을 읽는다(활동 요소)
2)계획의 과정: 학습 경험을 계획 할 때 내용 요소를 선택하는 준거와 활동 요소를 선택하는 준거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ex> 교과서 3쪽을 정확한 발음으로 읽기, 교과서 3쪽에 들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읽기
3)계획의 한계: 수업내용과 학습활동의 계획은 어디까지나 의도며, 이러한 의도의 결과인 학습 경험은 의도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ex> 교과서 3쪽의 내용을 이해하기 -> 교과서 3쪽을 반복하여 읽고 외우기
4)계획자의 한계: 교육과정 계획자는 학습 경험을 직접 만들 수는 없다. 이러한 경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내용 요소와 효과적인 학습활동을 계획할 수 있을 뿐이다.
5)학습기회 :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수업내용과 학습활동의 계획을 묶어서 학습 기회를 계획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계획에 있어서 관심 대상이 수업내용과 학습활동 뿐 아니라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인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2.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

학습 경험을 내용 요소와 활동 요소로 구분하면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은 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수업내용의 선정과 조직, 학습활동의 선정과 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1) 교과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가장 잘 반영하도록 의도한 기본 지침이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잘 가르치면 교육과정이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제2조에는 교과용 도서를 “학교에서 교육을 위해 사용하는 학생용의 주된 교재와 그 교재를 보완하는 음반, 영상 저작물 등(보완교재)을 말한다.”
① 교과서 내용과 교육과정 교육내용 간의 관계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내용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교과서의 내용이 곧 교육내용은 아니다. 교과서의 내용은 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의 내용이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기에 여기서는 교과서만을 대표적으로 다루어보도록 한다.
② 교과서 내용이 조직방식 및 제시방식
교과서 내용조직의 초점은 크게 교과(학문), 학습자, 사회의 세 가지로 구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초점을 바탕으로 내용요소, 즉 지식(개념, 일반화), 기능, 가치 등이 내용조직의 원리에 따라 조직된다. 이때 고려할 수 있는 내용조직의 원리는 수평적/수직적 조직의 차원과 논리적/심리적 조직의 차원으로서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표1) 내용 제시의 4가지 기본 형태
계 열
제시방식
설명식
발견식
귀납적 계열
귀납계열의 설명형
귀납계열의 발견형
연역적 계열
연역계열의 설명형
연역계열의 발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