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

 1  [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1
 2  [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2
 3  [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3
 4  [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4
 5  [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학사] 민족국가 건설운동기의 역사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민족사학 방법론의 발전
3. 분류사 연구의 확산
4. 해방공간의 역사인식
5.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민족사학은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1920년대에 크게 개발되었다. 주로 문화사학과 유심론사학의 방법으로 개발되어갔다. 그러나 당시 조선사편수회를 통하여 쏟아져 나오던 식민사학의 성과물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무엇보다 수량의 면에서 식민사학에 비할 바가 못 되었다. 조선사편수회나 경성제국대학이나 그를 위장한 학술단체인 조선사학회나 청구학회(菁丘學會)를 통하여 발표되고 있던 무수한양의 논저를 민족사학이 따라잡을 수 없었다. 그리고 식민사학 나름의 이론인 동조동근론(同祖同根論)과 타율성론(他律性論)과 정체성론(停滯性論)의 역사이론에 대하여, 민족사학이 어떤 연구조직도 없이 개인의 힘으로 대항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연구의 광장이 있었다면 그것은 신문이나 잡지뿐이었다. 그래서 1920년대의 민족사학은 몇 권의 저술 외에는 신문이나 잡지의 논설문으로 발표되면서 성장하고 있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서는 연구인원이 증가하고 그 성격이 더욱더 다변화하면서 민족사학이 과제로서 방법론의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본문에서는 ‘민족사학 방법론의 발전’과 ‘분류사 연구의 확산’ 그리고 ‘해방공간의 역사인식’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2. 민족사학 방법론의 발전
1930년대는 민족사학뿐만 아니라 민족운동 전반에 걸쳐 체제와 사상이 정비되고 발전한 시기였다. 1920년대의 민족운동 유사단체나 사이비 민족 운동가는 주객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떠날 사람은 떠나고 변절한 사람은 그 정체를 드러내면서 민족운동의 실체가 한결 분명해져간 1930년대였다. 그와 함께 민족사학의 윤곽도 방법론에 따라 정비되면서 발전해갔다.
민족사학의 방법론은 먼저 1920년대를 계승하여 유심론사학의 실체가 부각되었다. 우선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草)』가 1930년에 간행되었고 『조선사』와 『조선상고문화사』가 1931년 『조선일보』에 연재됨으로써 세인의 주목을 끌었다. 그리고 1936년에는 정인보가 『동아일보』에 『오천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