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

 1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
 2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2
 3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3
 4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4
 5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5
 6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6
 7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7
 8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8
 9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9
 10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0
 11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1
 12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2
 13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3
 14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4
 15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5
 16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6
 17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7
 18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8
 19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19
 20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애아동] 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 책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책줄거리
2) 작가소개
3) 선정이유


2. 본론
1) 책분석
2) 실태조사
3) 관련기사


3. 결론
1) 개선방향
2) 관련영화
3) 느낀점

본문내용
많았고, 발달장애는 23.2%로서 전체 장애아동의 절반이 넘는 수가 이 2가지 장애에 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세 번째 많은 장애유형은 뇌병변장애로 12.8%, 다음으로는 지체장애 9.1%, 청각장애, 시각장애, 언어장애의 순이었으며, 내부기관 장애에 있어서는 심장장애와 간질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장애인이 지체장애와 뇌병변, 시‧청각장애인이 많은 성인, 노령 장애인과는 장애유형에 있어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2) 장애아동‧청소년의 성 및 지역별 분포, 교육정도
- 성별 분포에 있어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서울시를 포함한 대도시에 49.6%로 가장 많고, 중소도시에는 41.8%, 군 지역은 미미한 수준으로 연령이 어릴수록 대도시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우리나라 전체 장애인의 지역분포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정도에 있어서는 대체로 고등학교가 33.5%로 가장 많고, 초등학교 20.5%, 중학교 18.0% 등의 순으로 미취학 연령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대체로 전체 장애인의 교육정도에 비해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성년전환기임에도 불구하고 무학(학교를 다니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있어서 정규 학교교육을 받지 못한 사례도 일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아동의 각 학교별 재학여부는 전체의 51.5%가 현재 재학 중이며, 졸업이 23.5%, 중퇴 7.2%의 순이었다.
3) 장애아동‧청소년 가구의 가구규모
- 장애아동・청소년 가구의 가구규모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4인가구가 가장 많았으며 3인가구, 5인가구의 순이었으며, 평균 가구원수가 3.99명으로 전체 장애인 가구(평균 3.07명)와 비장애인 가구(평균 2.93명)에 비해서는 가구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 가구원수도 줄어들고 있다.
4) 장애아동‧청소년 가구의 주된 수입원
장애아동・청소년 가구의 주된 수입원을 보면 주로 부모인 가구주의 소득이 74.0%로 가장 많고 기타 가구원의 소득 12.7%,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 6.9%의 순으로 나타나 전체 장애인 가구의 수입원 분포와 비교해 가구주 소득의 비율이 높고, 가구원의 소득이나 기초생활보장급여는 상대적으로 낮아 차이를 보이고 있다.
4. 장애아동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1)진단 및 치료
장애아동・청소년의 장애관련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된 장애에 대한 진단여부에 있어서는 진단받았다가 97.8%로 거의 대부분 장애에 대해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과거에 비해 장애를 진단받은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의료기관의 증가와 부모의 관심이 높아진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장애에 대해 정확히 모르고 진단받지 않은 경우도 일부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애진단을 받은 곳에 있어서는 주로 종합병원이 7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병의원이 20.1, 재활병의원은 0.3%로 대부분 장애의 경우 규모가 큰 종합병원을 통해서 진단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령별로 진단받은 기관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처음 치료한 시기에 있어서는 장애진단을 받은지 1개월 이내 치료받은 경우가 전체의 73.7%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1년 이내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3년 이후에 치료받은 경우도 5.6%로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연령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시 치료받지 않은 이유로는 장애에 대한 무관심이 주된 이유임을 알 수 있는데, 곧 나을 것 같아서가 22.2%, 장애에 대한 무지 20.0%, 경제적으로 어려워서가 15.6% 등의 순으로 장애에 대한 무지 또는 경제적 이유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충분한 치료를 받았는지의 여부에 있어서는 70.1%가 충분히 받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충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