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

 1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
 2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2
 3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3
 4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4
 5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5
 6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6
 7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7
 8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8
 9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9
 10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0
 11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1
 12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2
 13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3
 14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4
 15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5
 16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취업준비화 되어가는 현 대학교육의 실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과거와 비교한 오늘날의 대학교육 실태
1. 과거 대학생들의 인식과 학사제도
1.1. 1990년대 초중반
1.2. 2000년대 전후
2. 오늘날 대학생들의 인식과 학사제도

Ⅲ. 취업준비화 경향의 문제점 및 그 원인
1. 취업준비화 경향의 문제점
1.1. 학문 간 불균형한 성장
1.2. 학생들의 소양 부족
1.3. 가치의 획일화
2. 취업준비화 경향의 발생원인
2.1.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그 영향
2.2. 교육정책에 반영된 신자유주의

Ⅳ. 결론
본문내용
1.2. 2000년대 전후
이러한 모습은 97년 IMF 사태를 경유하며 급격히 변화하기 시작한다. 97년 이후 전개된 구조조정과 장기불황 속에서 노동시장의 분절화와 불균등화가 빠른 속도로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소위 '경쟁사회' 담론이 부상하였다. 대다수 대학들은 이러한 경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는데, 이 시기부터 본격적인 대학 취업률 경쟁이 시작되었으며 대학은 점점 취업양성소화 되어갔다. 대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예비 '취업인'으로 호명되었고, 대학인들의 대학문화는 일종의 소비문화로 전락하였다. 서울대는 한국사회 내 특권적인 위치 덕분에 타 대학들과 같이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과거 모습과 비교해보면 격세지감일 정도로 대학생들의 의식지형과 학사제도 차원의 변화는 무시할 수준이 아니었다.
예를 들어 2000년 서울대 학생의 일상을 주제로 다룬『관악문화 2000½』을 보면 수업과 시험이 서울대 학생들의 삶의 가장 큰 부분이 되어버린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숙제하느라 새벽 4시 돼서야 자고 …… 지각하지 않으려고 헐레벌떡 강의실에 뛰어오고 …… 내일은 오전 수업이 있으니 일찍 자고, 다음 주면 2차 중간고사이니 ……” 관악문화 편집부,『관악문화2000½ : 대학인의 일상은 어떻게 구성되나』, 2000, pp. 171-184.


“학생회관 복사실을 찾았다. 맙소사. 줄이 복사실 바깥까지 늘어져 있었다. 대부분의 손에는 ○○년도 ○학기 중간고사라고 붙어있는 족보, 아니면 깔끔하게 정리된 노트, 혹은 그걸 두 번 세 번 복사해서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되어있는 복사물이 들려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익숙해져 버린 시험풍경이다.” 위의 책, p.178.


“밤새 쓰는 실험리포트, 시험기간이 따로 없는 퀴즈와 시험의 행렬, 끝없는 연습문제풀이, …… 이런 것들이 이공계의 공식적인 코드다” 위의 책, p.184.


2000년대 전후 서울대에서는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에 대해 이전과는 다른 강박증을 갖기 시작했다. 2000년도부터 2002년까지 ‘대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전공 공부 및 학업’이라고 답한 학생이 제일 많았다. 김아람, 「‘학업’ 중시하는 서울대생」, 『대학신문』, 2009년 11월 23일. 5면.
이 시기부터 대다수의 대학생들은 대학교육을 제도교육 외의 활동을 포함한 과정으로 이해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사회화와 사회비판적인 반사회화의 과정이 복합적으로 융합된 것으로 사고하지도 않았다. 이 시기에는 ‘대학개혁위원회’라는 과거 자치도서관운동/제2대학 운동과는 전혀 다른 운동이 부각된다. 대학개혁위원회는 부실한 대학의 수업체계를 좀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목표로 만들어졌다. 대학개혁위원회의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강의 설문조사, 강의평가 등을 통해 개별 수업의 문제점을 고쳐나가려는 운동을 벌여내었다.

학생들의 의식변화는 대학의 학사관리제도와 궤를 함께 했다. 서울대에서는 1996년도부터 복수전공제도가 신설되었다. 1999년에는 실용영어 과목이 개설되었으며 2000년도에는 대학영어가 확대 개편되고 고급영어 과목이 개설되며 지금의 영어교육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또한 2000년부터 TEPS점수를 기준으로 대학영어와 고급영어 수강자격을 제한하기도 하였다.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백서 2000-2001』, 2001, pp.49-80.
1999년부터는 과거와는 달리 학사경고를 4번 받을 경우 ‘제명처리’ 되는 제도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백서 1998-1999』, 1999, pp.35-66.
학사제도 차원에서도 엄격한 학사관리와 영어교육을 비롯한 실용학문교육이 점차 중시되기 시작한 것이다.

2. 오늘날 대학생들의 인식과 학사제도

97년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대학생들의 의식지형변화와 학사관리제도의 엄격화 및 실용화는 2000년대 중후반에 들어 매우 심화된다. 앞서 서론에서 간략하게 제시했듯이 직접
참고문헌
강인영, 「서울대 ‘학과별 종합평가 자원 차등배분’」, 『CBS 노컷뉴스』, 2007년 11월 27일.
강희경, 「중앙대 '메가톤 변혁' 추진」, 『한국일보』, 2009년 10월 19일.
관악 학회평론 편집실,『계간 학회평론』, vol.15, 1996.
관악문화 편집부,『관악문화2000½ : 대학인의 일상은 어떻게 구성되나』, 2000.
김아람, 「‘학업’ 중시하는 서울대생」, 『대학신문』, 2009년 11월 23일.
김호진,『지식혁명의 시대의 교육과 대학』, 박영사, 2001.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신입생 특성조사(2004-2006)』, 2006.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교과과정 해설』, 2006.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백서 1996-1997』, 1997.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백서 1998-1999』, 1999.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백서 2000-2001』, 2001.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백서 2002-2003』, 2003.
신현석,『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학지사, 2005.
양진영 외, 「커닝하는 知性,서울대마저… 약대 6∼7명 여러 과목 시험서 집단 부정」, 『국민일보』, 2009년 6월 25일.
윤정일,『지식기반사회 고등교육 재정 확보 방안』, 교육부, 2000.
전국대학 인문학연구소협의회,『21세기 대학교육과 인문학의 전망』, 역락, 1998.
차인준,『대학 IMF 도전과 희망』, 백산, 2005.
천보선, 김학한,『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한울,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