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장 대안교육운동

 1  제11장 대안교육운동-1
 2  제11장 대안교육운동-2
 3  제11장 대안교육운동-3
 4  제11장 대안교육운동-4
 5  제11장 대안교육운동-5
 6  제11장 대안교육운동-6
 7  제11장 대안교육운동-7
 8  제11장 대안교육운동-8
 9  제11장 대안교육운동-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11장 대안교육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1절. 대안교육운동의 성격과 이념적 지향

1. 대안교육운동의 성격

1) '대안교육', '대안학교'운동

2) '고병현(1997)'의 규정

2. 대안교육의 이념적 지향


제2절. 대안교육의 유형

1. 대안학교를 설립하거나 대안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기를 기준으로 분류

2. 이종태(1998)의 분류

3. 가장 최근의 분류

제3절. 국내의 대안교육 실천 사례

1. 국내의 대안교육 현황

2. 국내의 대안교육 유형별 실천 사례

1) 정규학교형 대안학교(특성화 중•고등학교)
2) 미인가(실험형) 상설학교

3)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학교
(1) 계절학교

(2) 방과 후 학교와 주말학교

제4절. 국외의 대안교육 실천 사례

1. 미국의 대안교육
1) 챠터스쿨

2) 마그넷 스쿨

3) 자유학교

4) 기타 대안교육 관련 프로그램

2. 독일의 대안교육

1) 발도르프 학교

2) 자유대안학교

3. 영국의 대안교육

1) 하트랜드의 '작은학교'
2) 서머힐 학교

4. 일본의 대안교육

1) 신쥬큐 야마부키 고등학교


제5절. 대안교육운동의 전망과 과제

1. 교사들의 현실인식 부족과 미래에 대한 공유된 전망 부재의 극복

2. 대안학교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

3. 대안교육의 가치와 이념이 녹아 있는 대안교육 방식의 개발이 시급


4.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또한 시급


본문내용
제1절. 대안교육운동의 성격과 이념적 지향

1. 대안교육운동의 성격

1) '대안교육', '대안학교'운동
- 대체로 1960년대와 1970년대 아래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에서 공교육을 둘러싸고 일어난 학교 존립에 관한 생산적인 논의에서부터 출발한다.
- 1970년을 전후하여 국가주도의 공교육 속에 숨어 있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성찰이 일어나면서 프리스쿨 운동이 본격화되었으며, 학교교육을 비판하는 책들이 줄을 이었다.(「학교는 죽었다」,「교실의 위기」,「탈학교 사회」)
- 이러한 논의들은 제도교육의 모순을 개혁하자는 저항의식을 높이는 데는 큰 기여를 했지만, ‘대안 없는’ 비판에 치우친 한계를 가지고 있다.
- 대안학교는 그 대안으로 등장하였고, 우리나라에서 교육문제의 구체적인 대안을 찾으려는 노력은 1990년대에 들어서이다.

2) '고병현(1997)'의 규정
1) 대안교육운동은 '대안적'이어야 한다.
- 기존 학교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이념적 성향이나 자연관, 사회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통해 형성된 대안교육은 ‘새로운 교육’ 만이 아닌 기존 교육개혁과는 차별성을 지닌 교육운동이다.
2) 대안교육운동은 현실 변혁적이어야 한다.
- 제도권 내의 교육(현실)과의 접점을 유지하며 변화와 변혁을 추구해야 대안교육의 운동성을 유지 할 수 있다.
3) 대안교육운동은 교육운동이다.
- 교육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은 선전과 선동의 기술을 통한 변화가 아닌 사랑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