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

 1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1
 2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2
 3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3
 4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4
 5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5
 6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6
 7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7
 8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8
 9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9
 10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10
 11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11
 12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12
 13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13
 14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상실된 타자를 찾기 위한 발걸음-이청춘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과 그 방법

2. 기존 연구사 검토


Ⅱ. 선험적 고향을 찾아 떠나는 여행

1. 떠도는 말과 선험적 고향에 대한 인식

2. 선험적 고향을 찾기 위한 시도와 좌절

3. 좌절의 끝에 찾아낸 귀향의 방법 : 용서와 화해


Ⅲ.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과 그 방법
이청준의 작품들은 주로 두 계열로 분류된다. 하나는 도시를 배경으로 폭력적인 사회체계에 의해 상처받는 개인을 다룬 작품들이고, 또 하나는 작가의 고향인 남도(장흥)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는 소리꾼의 삶의 애환을 그린 작품들이다.『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는 두 계열의 작품세계가 충돌하며 하나로 녹아들어있다. 때문에 이는 이청준 작품세계의 원형질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문흥술, 「말의 소리화와 존재의 집: 이청준」,『문학의 본향과 지평』, 서정시학, 2007, p.156~157

이청준은 생전에 ‘문학은 삶의 언어적 존재, 언어적 실체’라는 문학관을 바탕으로 작품을 썼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인식하는 것 모두가 언어로 표현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문학은 삶의 언어적 존재, 언어적 실체라는 것이다. 때문에 언어를 떠나서는 존재를 증명할 방법이 없다. 권오룡, 「시대의 고통에서 영혼의 비상까지」,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p.27
70년대 우리 사회는 군사 독재 시대로 표현의 자유를 억압받았다. 당시 우리 사회에서 존재의 실체는 억압받았다. 때문에 우리 사회는 ‘진실’은 상실되고 ‘거짓’으로 가득 찬 세계로 전락하고 만다. 따라서 이청준은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를 통해 ‘존재의 집’을 상실한 상황을 제시하고, 선험적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든 것이 미분화된 상태인 상상계적 세계는 군사 독재 시절의 억압으로 인하여 모든 것이 분화된 타락한 상징계적 세계를 맞이한다. 자기 자신 안에 있는 사고조차 그 실체를 증명해 낼 수 없는 상태가 온다. 따라서 자신의 이념을 바탕으로 나오는 말도 더 이상 그 이념을 반영하고 있지 않는다. 말은 그 본질을 상실한 채 유령처럼 정처 없이 떠돌게 된다. 이청준은 존재의 실체를 상실한 사회의 모순을 드러낸다. 단순히 사회의 모순을 보여주는 것에 멈추지 않고, ‘존재의 집’을 찾기 위한 노력과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1. 기본서적
이청준,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 문학과 지성사, 1977

2. 참고서적
권오룡,『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문흥술,『문학의 본향과 지평』, 서정시학, 2007
Georg Lukacs,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98
이윤옥,『비상학, 부활하는새 다시 태어나는 말ㅡ 이청준 소설읽기』, 문이당, 2005

3. 참고논문
김남혁, 「이청준 연작소설 연구」,고려대 대학원 석사, 2007
김인호, 「언어로 해방을 꿈꾸는 두 가지 방식」,『본질과 현상 3 봄 통권 4호』, 본질과 현상사, 2006
김재영, 「연작소설의 장르적 특성 연구 - 1970년대 연작소설을 중심으로」,『한국문학의 연구 제26집』,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연구원,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