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분쟁]동북공정 및 중국의 국경선 정책에 대하여

 1  [국제분쟁]동북공정 및 중국의 국경선 정책에 대하여-1
 2  [국제분쟁]동북공정 및 중국의 국경선 정책에 대하여-2
 3  [국제분쟁]동북공정 및 중국의 국경선 정책에 대하여-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분쟁]동북공정 및 중국의 국경선 정책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철책 하나 없는 北·中 국경

(1) 국경선과 그 평가

(2) 중국의 국경선 정책

3. 나가며

본문내용
중국은 2003년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요녕(遼寧)성 과 길림(吉林)성 국경지역에 15만 명의 군을 추가 투입했다. 이러한 군사적인 강화책과 더불어 2001년 백두산 천지에서의 국경 이벤트 등 군사도로상의 중요 지점들을 관광자원으로 확보, 개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런 모순된 정책의 이유로는 동북공정(東北工程) 2002년 2월부터 2007년 1월말까지 5년간 실시한 연구 사업이며, 중국의 동북 3성 지역의 역사, 지리, 민족에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프로젝트.
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임채정 외, 앞의 책, 2005, pp. 17~19.

국경지역의 대한 군사적인 긴장감을 유지하며 자국의 관광지역으로 서의 홍보활동 등과 함께 동북3성 중국 북동부 요녕(遼寧), 길림(吉林), 흑룡강(黑龍江)의 3성(省)으로 이루어지는 지방.
의 역사를 고대사부터 시작하여 자국의 역사라고 주장하며 연구하는 동북공정은 최근 중국 동북 지구와 한반도 사이에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과 관련지어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을 살펴보면, 중국의 조선족은 정서적 의식적으로 한국 사회와 단절되지 않고 맞물려서 살아가고 있으며, 북한 국민들의 탈북 현상은 북한 정권의 극단적인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징표이기도 하다. 이것은 한반도 정세가 앞으로 변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으며 게다가 향후 한반도 정세가 급격하게 변하면서 남한과 미국 주도로 한반도 통일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중국은 동북아 전략을 펼쳐나갈 발판으로서 북한을 상실하게 되고 미군 기지가 압록강과 두만강에 들어서는 상황을 맞이하면서 동북 변강의 안정에 위협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상술한 상황은 분명 동북공정 추진과 관련이 있을 것이며 실제로 한반도의 통일과 향후 조선족의 동태 사이의 상관성에 관해서는 동북공정에서 응용 연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윤휘탁. 『신중화주의』, 푸른역사, 2006, pp. 260~262.
이와 같이 중국은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며 국경선의 군 증가의 따른 군사적인 면과 더불어 관광자원 개발 및 동북공정을 통한 역사, 문화적인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