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

 1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1
 2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2
 3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3
 4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4
 5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5
 6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6
 7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7
 8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8
 9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9
 10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10
 11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11
 12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12
 13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13
 14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 술의 현재와 발전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우리 술의 정의와 현황
Ⅲ.안동소주 사례 연구
1. ‘민속주 안동소주’를 통해 본 안동소주의 특징
2. ‘민속주 안동소주’의 생산 및 판매실태
3. ‘민속주 안동소주’ 의 한계를 통해 본 우리 술 생산 판매의 문제점
Ⅳ. 우리 술의 발전 방향
1. 우리 술의 발전 저해 요인 -법적 규제와 행정지원
2. 우리 술의 지향점 : 대중화, 고급화, 세계화
Ⅴ. 맺음말 - 소비, 공급, 문화의 측면에서 본 우리 술의 활성화 방안
본문내용
Ⅲ. 안동소주 사례 연구

안동소주는 현재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한국술’인 소주의 원류가 된다는 점과, 고유의 특성을 살려 대중화에 어느 정도 성공한 사례로서 잘 알려져 있다. 안동소주의 사례를 통해 우리 술 산업이 처한 현실과 문제점들을 짚어볼 수 있다.

1. ‘민속주 안동소주’를 통해 본 안동소주의 특징

원래 안동소주의 유래 이규태, 한국학 에세이, 신원문화사, 1995
는 원의 한반도 진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나라가 한반도에 진출한 것이 13세기인데, 고려 충렬왕 때 징기스칸의 손자 쿠빌라이가 일본을 침략하고자 전초기지를 제주도에, 병참기지를 안동과 개성에 구축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알 수 있다. 원나라의 병사들에게 소주는 매우 중요한 필수품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병참기지인 안동에서 소주를 만들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그 전통이 유지되어 유명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현재의 안동소주 이동필, 전통민속주산업의 육성방안, 농촌경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4
는 1970년경 사라진 것을 다시 복원한 것이다. 순곡 증류주인 안동소주는 1960년대 초부터 약 30여년에 걸친 쌀로 술을 빚을 수 없도록 한 양곡정책과 1970년대 초의 소주업체 통폐합정책에 의해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 민간의 몇몇 움직임으로 안동소주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었고, 현재 ‘안동소주’로 불리는 것들은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 속에서 재탄생한 것이다. 이 중 ‘민속주 안동소주’를 중심으로 안동소주의 특징과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민속주 안동소주’ 제조 기능 보유자인 조옥화씨는 안동지방의 지주의 딸로 태어나서 어머니께 안동소주 제조법을 배웠다고 한다. 1985년 문화공보부의 조사단이 조씨를 방문하여 안동소주의 제조 방법을 자세히 조사한 후 시험제조를 계속했다. 그 후 조씨는 1987년 5월 경북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고 1990년 5월에 민속주 제조면허를 취득, ‘민속주 안동소주’란 상표로 상업적 제조, 판매하게 되었다. 멥쌀로 고두밥을 쪄서 누룩가루와 배합하여 탁주를 빚고 이를 소주고리에 담고 열을 가하여 끓일 때 발생하는 증류수가 안동소주이다. 원료의 배합비율은 누룩가루 5-6되와 멥쌀 한말, 물 한말 반으로 소주 3.5-4되를 만들 수 있는데 술을 담근지 7일만에 탁주가 되고, 1일 동안 소주를 내려 모두 8일간이 소요된다. 안동소주는 향기가 진하고 뒤끝이 깨끗하며, 순곡주로 만든다는 특징 외에도 제조공정상 현대적인 주조방식을 사용하는 그 밖의 증류주와는 달리 누룩을 이용하여 발효하고 열을 가해 알콜을 추출하는 가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조옥화씨의 안동소주를 기반으로 하여 파악한 안동소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이규태,『한국학 에세이』, 신원문화사, 1995
이기문 감수,『 동아메이트 국어사전』, 두산동아 p 360

김계중, 「전통주 레이블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 디자인대학원, 2006
김완배, 「한국과 일본의 주류산업비교」 서울대학교 2007
「전통민속주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농촌경제』제 17권 제 2호, 1994
이동필, 「전통민속주산업의 육성방안」, 농촌경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4
외, 「주류 세미나」, KREI, 2002.
「농림부 보도자료」, 농림부 식품산업과, 2006. 9. 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