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

 1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
 2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2
 3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3
 4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4
 5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5
 6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6
 7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7
 8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8
 9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9
 10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0
 11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1
 12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2
 13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3
 14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4
 15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5
 16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6
 17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7
 18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교교육] 제5장 교육의 책무성과 권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주요질문]
1. 도입
2. 책무성에 대한 문제제기
(1) 교사는 무엇을 하는가 : 책무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
(2) 책무성과 민주주의 이론: 권한으로서의 책임
3. 수단화된 교육 개정으로서의 책임 : 영국의 교육 개혁 법률안
(1) ERA 이전의 교육 혁신 전략 : 역사적 전례 ( ERA 등장 배경 )
(2) 1988년 교육개혁법률안(ERA의 숨겨진 의도 및 ERA로 인한 체제 변화)
(3) 영국에서의 교육 개혁을 이해하기 위한 비판적 토대의 적용
(4) ERA에 관한 결론
4. 교육과 독일 재통합후의 새로운 도전
(1) 두 독일 : 역사적 이데올로기적 견해
(2) 동독 재통합의 교육개혁에 대한 비판
5. Ethics 와 영국 그리고 독일 개혁
[지속적 고찰 및 생각할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수단화된 교육 개정으로서의 책임 : 영국의 교육 개혁 법률안
․ 1988년 영국의 교육개정법률안(Education Reform Act, ERA) 통과
→ 교육가들의 업무, 역할에 대한 재정의
→ 교육체계의 4가지 변화 제정
① 학교 통제 역할과 의무의 재구성
② 아이들이 학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부모의 선택 요구
③ 국가 교과과정 채택
④ 국가적 학생 평가 가이드라인의 수립

(1) ERA 이전의 교육 혁신 전략 : 역사적 전례 ( ERA 등장 배경 )
1) 역사적 배경
․ 역사적으로 영국은 상업과 제국의 발전에 초점. 때문에 산업강국을 이룩했고, 이는 “자유세계경제 내의 세계 강국”으로 보는 이데올로기가 처음 성립.
․ 그러나, 1971년 세계석유파동과 생산을 위한 자금의 부족이 발생했고, 이것으로 교육이 민영화 됐으며, 불평등이 불가피하다는 생각이 대두.
․ 정치적 자유주의자들과 보수주의자가 대립
① 정치적 자유주의자들 - 영국의 교육을 엘리트주의에서 평등주의로 이동시키려고 노력.
② 보수주의자들 - 전통적 과목과 기술능력을 강조 → 엘리트주의 기관의 사업투자를 촉진
- 진보집단간의 불일치를 이용해 진보교과(평화학습, 민족적 자각, 다문화 교육 등)가 국가 경제 및 도덕적 쇠퇴에 기여한다고 대중을 설득.
․ 결국 보수주의자들은 교육에서의 정부 재정 배당을 제한하고, 교사교육과 교과과정에 대한 정부 통제를 확대하며, 교육종사자들의 자치권을 제한하는 교육개정 정책에 착수.
교육의 책임성 개정은 교육이 “공동으로 운영되는 경제의 유능한 하인이 될 것”(Miller & Ginsburg, 1991)을 요구하고 있음.
즉, 정부의 교육 통제가 계층화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위치를 제공하고, 인간의 노동력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산업발전과 경제 성장으로 귀결될 것이라 생각.
따라서 , 국가와 교육의 재편성은 세계 경제에서 영국의 위치를 부흥시키기 위한 하나의 전술인 셈.

2) 개혁에 대한 기대
․ 집중화된 책임성 개혁을 통해 기대한 결과
① ERA의 옹호자들은 정부 지출을 줄임으로써 개혁은 제 3의 기관과 사업과의 관련을 창출하고 기업가적으로 되도록 할 것이다.
② ERA가 교사들에게 교과목을 2년간 학습하도록 요구되는 국가적 교사 교육과정을 만들기 때문에 옹호자들은 이것이 진보적 교육과정을 제한하고 더욱 전통적이고 정돈된
참고문헌
김규태 (2005). 교육의 책무성. 서울: 원미사.
고전 (1997). 교사의 법적지위에 관한 교육법학적 접근방법. 교육행정학연구, 15(3), 294-326.
김영철 (2005). 학교의 책무성 제고 방안. 한국교육, 32(1), 59-80.
백종억 (2000). 주요국의 교육행정제도와 교육개혁 동향. 서울: 교육과학사.
양성관 (2005). 교사참여를 통한 학교운영: 책임-권한부여-책무성의 순환적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3(2), 23-50.
정제영, 신인수, 이희숙 (2009). 학업 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41-260.
한국교육개발원 (1993). 독일 교육통합과 파생문제점 분석연구.
한수웅 (2007).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 및 교사의 교육의 자유-교사의 사상주입교육의 헌법적 문제를 계기로 하여. 저스티스, 통권 제101호, 3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