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

 1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
 2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2
 3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3
 4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4
 5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5
 6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6
 7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7
 8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8
 9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9
 10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0
 11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1
 12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2
 13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3
 14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4
 15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 시가론] 연시조의 발생과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조 개관과 종류

2. 연시조의 형성배경
1)형식적 배경
2)내용적 배경

3. 연시조의 성격

4. 연시조의 분류 방법에 따른 작품
1) 한편의 단일한 주제 밑에 연작된 작품
① 맹사성
② 이현보
③ 윤선도

2) 주제가 다른 여러 수를 하나의 통괄된 제목으로 묶인것
① 이황
② 정철


5. 연시조의 한계
본문내용
② 이현보


조선 명종 때 이현보가 지은 5수의 연시조다. 작자는 고려 때부터 전해오던 12장의 장가를 9장으로 개작하였고, 이를 다시 개편하여 5수의 시조 형태로 남겼다. 명칭 상 장가 '어부가'와 구별하여 '어부단가'라 부르기도 한다. 시적 주인공인 어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추상적인 어부 생활을 묘사하고 있는 제 1수에 이어 제2,3,4수에서는 강호 자연에서의 어부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며, 제5수에 이르러서는 현실사회를 잊지 못하는 시인의 내면 의식을 보여준다. 결국, 이 작품은 실제로 강호 자연으로 물러난 시인의 내면화된 현실 지향 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한운'과 '백구'라는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사물과의 합일을 통해 현실을 잊고자 한다.'한운'과 '백구'는 '무심'하고 '다정'한 대상물로, 현실을 떠나 어디에도 얽매임이 없이 일체가 되고 싶은 자연물을 형상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현실 지향의 내면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를 보여주는 제재가 '장안'이나 '북궐'이다. 또한 '천심녹수', '만첩청산' 같은 상투적 한자어를 많이 써서 정경 묘사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데 그쳤다.


③ 윤선도

우는거시 벅구기가 프른거시 버들숩가
이어라,이어라
漁村(어촌) 두어집이 내속의 날낙들낙
至菊悤(지국총)至菊悤(지국총)於思臥(어사와)
말가한 깁픈소의 온갓고기 뛰노난다. [春詞4]

우는 것이 뻐꾸기인가? 푸른것이 버드나무 숲인가?
(노를 저어라, 노를 저어라.)
어촌 두어 집이 안개 속에 잠겨 들락날락하는구나
(지국총:배 부딪칠때 나는 “찌그덩”소리)
맑고 깊은 못에 온갖 고기가 뛰노는 구나.

주제 : 강호의 한정,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여유와 흥취
어부가의 형성과정 : 어부가(漁父歌, 고려, 작자 미상) → 어부가(漁父歌, 조선, 이현보 개작)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조선 후기, 윤선도)
1651년(효종 2)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단가(短歌). 보길도(甫吉島)를 배경으로 지은 40수의 단가로, ≪고산유고 孤山遺稿≫에 실려 전한다. 이 노래는 작자와 제작연대 미상인 고려 후기의 〈어부가 漁父歌〉(이 계통의 노래 가운데 현전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됨)와 직접적 전승관계에 놓인 이현보(李賢輔)의 〈어부사 漁父詞〉에 그 창작 연원이 맞닿아 있다. 작자 미상의 〈어부가〉는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현보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이현자, “사시가계 연시조에 나타난 강호자연 인식”,『시조학논총』, 17집, 2007, pp235~285

*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6, p14

* 尹孤山 硏究(李在秀, 學友社, 1955), 尹善道作品集(尹星根, 螢雪出版社, 1977), 韓國古典詩歌의 形象性(崔珍源,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8), 假漁翁(崔珍源, 成均館大學校論文集, 1960), 〈漁父四時詞〉의 終章과 變異形(金興圭, 民族文化硏究 제15집,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0), 〈漁父四時詞〉에서의 ‘興’의 性格(金興圭, 한국고전시가작품론, 集文堂, 199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상진,「16 ․ 17세기 시조의 동향과 경향」, 국학자료원, 2006
* 박정련,「陶山十二曲」을 통해 본 退溪의 音樂觀 -「도산십이곡발문」과 「도산십이곡」〈언지〉의 노래를 중심으로, 2008

* 朴晟義, 玄岩社, 松江·蘆溪·孤山의 詩歌文學 ,19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ttp://cafe.naver.com/kangwookhangul.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82

http://blog.naver.com/ccc192000?Redirect=Log&logNo=40098524583

http://cafe.naver.com/kangwookhangul.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