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

 1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
 2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2
 3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3
 4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4
 5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5
 6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6
 7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7
 8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8
 9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9
 10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0
 11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1
 12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2
 13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3
 14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사상사] 명`청대의 신유학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명말의 비판정신의 출현
1. 명말의 시대적 분위기
2. 명말 비판 정신의 특징
3. 태주학파(泰州學派)와 동림학파(東林學派)
4. 명말의 비판 정신의 한계점
Ⅲ. 청초의 삼유로(三遺老)의 경세학
1. 청의 건국과 청의 중국지배
2. 경세학의 형성
3. 대표적인 인물
4. 경세학의 한계점
Ⅳ. 청 중기의 대진(戴震)의 고증학
1. 청중기의 중국사회
2. 고증학의 형성
3. 대진(戴震)과 고증학
4. 고증학의 한계점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원(元)을 멸망시키고 등장한 명(明)의 시급한 과제는 유목민족의 문화인 몽골풍을 없애고 한(漢)의 문화를 부흥시키는 일이었다. 이러한 시도로 태조는 전통문화의 부흥을 위하여 유학을 장려하고, 송대의 과거제도를 부흥하여 주자학을 시험과목으로 채택하였다. 더불어 성조(成祖)는 칙명으로 《오경대전(五經大全)》, 《사서대전(四書大全)》, 《성리대전(性理大全)》을 편찬하여, 이를 뒷받침하였다. 이로 인하여 송대 이래 발달한 신유학인 주자학은 확고한 관학(官學)의 위치를 고수하여 사상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것은 이학(異學)의 금지와 문화계의 창의력을 결여시키고 사상의 자유로운 발전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사상계의 침체는 새로운 사상인 양명학을 등장시켰다. 명 중기에 등장한 양명학은 주자학 일변도의 획일화된 문헌주의(文獻主義)적 학문경향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여 종래의 유학사상의 권위에 비판을 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양명학 또한 유교가 지니고 있던 정치적·사회적 개혁을 위한 본래의 속성에서 벗어나 명말에 이르면 차츰 나라의 위기와 백성들을 돌보지 않고, 불교의 공무(公無) 이론을 제창하여 유교를 포기하고 선문(禪門)에 들어가서 현실을 도피하는 자가 많아 심학횡류(心學橫流)라는 비난을 받았다.
즉, 명대의 대표적인 사상은 바로 주자학과 양명학을 중심으로 하는 신유학이다. 이러한 신유학의 사상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전면적인 비판하면서 새로운 학풍이 열리게 되었고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사상은 명말에서 청 중기까지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비판적인 사상은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제1기는 명말의 비판정신의 출현, 제2기는 청초의 삼유로(三遺老)의 경세학, 제3기는 청 중기의 대진의 고증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H.G. Creel, 『중국사사의 이해』, 서울경문사, 1980.
2. 갈영진, 「청대 실학사조의 역사적 변천」, 『동아문화』 제28집, 서울대, 1990.
3. , 「중국실학간론」, 대동문화연구원, 제4회 동양학 국제 학술회의 논문집, 1990.
4. 석근지, 「동림학파와 명말청초의 실학사조」, 대동문화연구원,
제4회 동양학 학술회의 논문집. 1990.
5. 오금성, 《명말·청초사회의 조명》, 서울 : 한울아카테미, 1990.
6. 장유교, 《중국근대철학사》, 서울 : 서광사. 1989.
7. 후외려 , 《중국철학사》, 일월서각, 서울 : 일월서각,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