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

 1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1
 2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2
 3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3
 4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4
 5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5
 6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6
 7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7
 8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역사학] 사기를 통해 본 `주``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주공세가」와 고문

Ⅱ.「공자세가」와 금문

Ⅲ. 주·공 세가의 묘사방법

Ⅳ. 결론
본문내용
사람이 도구를 사용하는 데 있어 그 필요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고, 버려지기도 한다. 이것은 우리가 만지는 물질로서의 도구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인간이 사용하고 있는 모든 것, 즉 언어와 지식, 크게는 사상도 포함이 된다 하겠다. 이러한 모습은 역사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데, 가장 유명하다면 할 것이 진시황의 분서갱유라 하겠다.

"그런데 진(秦)나라 말기에 이르자, 『시』와 『서』를 불사르고 유가들을 매장시켰는데, '육예(六藝)'는 이로부터 없어졌다."

진나라의 시황제는 민간에 소유되었던 책들을 불태우고 여러 지식인들을 땅에 묻어,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는 것을 버렸다. 이 후에 사라진 지식들을 되찾기 위한 진 후의 사람들의 노력이 시작된다. 진시황의 분서갱유 후에 많은 지식인들은 은둔하는 생활을 하였고, 많은 경서들이 실전(失傳)되었기 때문에 한대에 들어 유학자들은 구전과 기억에 의지하여 실전된 경서들을 다시 복원하여 책으로 엮었다. 이때 사용된 문자가 한의 문자인 예서(隸書)인데, 이 것을 당대의 문자로 기록한 경서라 하여 금문 경서라 한다. 그런데, 그 후에 문제는 실전되었다고 여겨지던 경서의 일부분이 오래된 가옥의 벽이 허물어지면서 발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를 옛 문자로 기록되어있는 경서라 하여 고문 경서라 한다. 이 두 종류의 경서는 유학의 텍스트이기는 하지만 그 내용과 의미의 차이가 드러나고, 서로 주장하는 바와 입장이 다르자, 그들은 금문 경학파와 고문 경학파로 나뉘어 중국의 긴 역사만큼이나 긴 싸움을 시작하기 된다. 중국의 역사가 크게 바뀔 때마다 등장하여 수구와 변혁 중 하나를 취하게 될 때, 그들은 각각의 도구가 되어 싸웠던 것이다.
그럼 현재 우리가 공부를 하고있는 사마천(司馬遷 , BC 145 ?~BC 86 ?)에게 있어서 금문과 고문은 어떠했는지, 사마천은 어느 학문에 중점을 두었는지, 금문에서의 문왕인 공자와, 고문에서 예의 시작인 주공을 서술해놓은 공자세가와 주공세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문헌
사마천 저/ 정범진 역, 『사기 세가 상, 하』, 까치, 1995,
사마천 저/ 정범진 역, 『사기 열전 하』, 까치, 1995,
동경대중국철학연구실지음/조경란 역, 『중국사상사』, 동녘, 1992
피석서 저/ 이홍진 역, 『中國經學史』, 동화출판공사, 1984
후외로주편/ 양재혁 역, 『中國哲學史 上』, 일월서각, 1988
버튼 웟슨 저/ 박혜숙 역,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 한길사, 1995,
하야시다 신노스케 저/ 심경호 역, 『인간 사마천』도서출판 강,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