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

 1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
 2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2
 3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3
 4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4
 5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5
 6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6
 7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7
 8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8
 9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9
 10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0
 11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1
 12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2
 13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3
 14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4
 15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5
 16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6
 17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7
 18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8
 19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19
 20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고학] 백제의 생활문화-주거지와 생활유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주거의 형태와 구조
1. 주거의 형태
2. 주거의 내부구조

Ⅲ. 백제 주거의 현상
1. 서울· 경기 일원
2. 충청 일원
3. 전라 일원


Ⅳ. 백제 주거의 특징
1. 서울· 경기 일원
2. 충청· 전라 일원

Ⅴ. 백제의 취락 구성

Ⅵ. 출토유물

Ⅶ.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3) 5각형, 6각형 주거지

-대부분 서울·경기 일원에서 확인
(파주 주월리, 서울 풍납토성, 하남 미사리 등지)
-전라 일원에서는 발견되지 않음
-6각형태의 凸자형주거지
-단벽 중앙의 출입시설, 둔각의 벽체를 따라 기둥구멍
-신분과 지위가 높은 특수한 위상을 가진 주거지로 추정
-5각형 주거지
: 6각형에 비해 많지 않음(용인 수지, 화성 발안리 유적에서 보임)
- 발안리 유적에서 5기가 조사됨
- 6각형 주거지가 변형 ⇒ 경기도 남부지방에 파급된 것으로 추정

5) 대벽 건물지

-방형의 도랑, 지붕을 받치는 기둥구멍, 흙벽을 유지시키는 작은 기둥구멍으로 구성

-최근 백제지역의 공주 공산성, 공주 정지산, 공주 안영리 등지

-한반도와 관련한 유적으로 도래인과의 관계를 상정할 수 있음

-중심연대는 5세기 중후반으로 추정

-원삼국시대에서 백제시대로 이행되는 시기로 보임
충청 일원 (공주 안영리 새터, 서천 봉선리, 서천 지산리 등지)
서천 지산리 주거지에서 약 20여기의 화덕자리와 부뚜막 확인

전라 일원 (익산 월곡, 정읍 관창리, 담양 성산리, 장흥 지천리 등지)
정읍 관청리, 담양 성산리 화덕시설 ⇒ 원삼국시대 마한계의 주거지와 유사한 구조

전라 일원 ⇒ 6세기가 되면 석재를 이용한 온돌시설


4) 공간분할구조

․ 주거의 위치에 의한 분할과 주거 내부의 공간분할
① 주거의 위치에 의한 분할
- 포천 성동리 (주거와 주거의 부속건물로 공간 분할)
- 화성 발안리 (원형상의 구상유구로 구획, 한성백제시대의 일반적인 취락 구조)
하남 미사리 (6가형주거지, 고위층이 거주했던 곳으로 추정)

② 주거 내부 공간의 분할
- 진안 와정 4호주거지 (유적내 일반 주거지와 비교해 규모가 월등하게 큼)
- 광주 풍암동 주거지 (칸막이 시설로 보이는 구덩이 확인)



참고문헌
장경호, 2004, “아름다운 백제건축”, 도서출판 주류성

이상균, “백제 주거의 현상과 구조적 양상”, 학술논문, 2006

신종국, “백제토기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한성기 백제 주거유적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03

오세훈, 2008, “한성백제사 생활과 문화”,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이존희, 2002, “풍납토성, 잃어버린 『王都』를 찾아서”, 서울역사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