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

 1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
 2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2
 3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3
 4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4
 5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5
 6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6
 7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7
 8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8
 9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9
 10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0
 11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1
 12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2
 13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3
 14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4
 15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5
 16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6
 17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7
 18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8
 19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19
 20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론]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1. 서론
2. 서술격조사설
2.1. 격조사와 서술격조사의 차이점
2.2. 서술격조사설에 대한 견해
2.3. 서술격조사설에 대한 반박

3. 지정사설
3.1. 지정사설에 대한 견해
3.2. 지정사설에 대한 반박

4. 통사적 접사설
4.1. 통사적 접사설에 대한 견해
4.2. 지정사설에 대한 반박

5. 계사설
5.1. 계사설에 대한 견해
5.2. 계사설에 대한 반박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최현배(1937)에서의 지정사설


㉡ 너는 책. 나는 꿈.
㉢ 너는 책이다. 나는 꿈이다.


㉡과 같은 경우에 체언만으로는 서술어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과 같이 ‘이다’가 체언에 덧붙여지면 비록 의미로는
비정상일지라도 문법적으로는 서술어 기능이 뚜렷이 드러난다.


① 김의수(2006)
‘이다’에 관한 파생접사설을 재검토.
어휘적 접사로서의 ‘이-’를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 자료가
부적절.
속성적 명사 자체의 어휘적 속성에 의한 ‘이다’ 구문의 특성을 무리하게 ‘이-’에 떠넘기려는 시도가 적지 않음을 지적.

②이익섭, 채완(1999)
‘이’는 분포상의 특징으로 보면 선어말어미와 상통.
그 기능을 보면 ‘사람답다’의 ‘-답-’과 마찬가지로 파생접미사와 상통.
그러나 선행 요소가 용언 어간이 아니고 명사라는 점에서 선어말어미라 하기도 어렵고, 어느 명사에나 결합한다는 분포상의 자유로움 때문에 파생접미사라고 하기도 어렵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길운(1956), 지정사는 설정되어야 할 것인가, , pp.264-278.
김의수(2006), , 태학사.
고영근ㆍ구본관(2008), , 집문당.
남기심ㆍ고영근(1993), , 탑출판사.
남길임(2004), , 한국문화사.
서정수(1996), , 한국문화사
(2006), , 한세본.
시정곤(1993), 부사화접사 ‘이’의 통사적 해석, , pp.473-494.
(2005), “이다”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시 논의함, , pp.55-80.
이관규(2005), , 집문당.
이광정(2003), , 역락.
이익섭ㆍ채완(1999), , 학연사.
임홍빈ㆍ장소원(1995),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