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

 1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
 2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2
 3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3
 4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4
 5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5
 6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6
 7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7
 8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8
 9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9
 10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0
 11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1
 12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2
 13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3
 14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4
 15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5
 16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6
 17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7
 18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8
 19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19
 20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10학년 국어(하)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3) 양반전, 교과서 단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과서 단원 구성


Ⅱ.
대단원 분석

1.
교과서 단원에 반영된 교육과정

2.
대단원의 내적 일관성


Ⅲ.
소단원 학습과정 분석


Ⅳ.
작품 분석

1.
과 문학이론과의 관련성

2.
교과서 속

본문내용
먼저 가장 가까운 9학년 문학 영역에서는 ‘(2) 문학 작품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상황과 관련지어 창작 동기와 의도를 파악한다.’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8학년 문학 영역에서는 ‘(4)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행동을 사회․문화적 상황과 관련지어 파악한다.’, 7학년에서는 ‘(3) 역사적 상황이 문학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한다.’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학년에 따른 연계 학습이라는 성격에 따라, 이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7학년의 성취기준이며, 8, 9학년의 성취기준은 이에 대한 반복․확장 학습의 성격을 띄고 있다. 즉, 7학년과 8학년에서 작품과 사회․문화적 상황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작중인물의 행위와 이를 관련지어 생각해보게 한 다음, 더 나아가 9학년에 와서는 작가의 창작 동기와 의도까지 관련지어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소단원 (3)의 경우, 표면적으로 학습목표만을 살펴본다면 7학년의 성취기준이 가장 잘 맞아떨어지지만, 뒤에서 살펴 볼 학습활동의 내용들을 고려해 볼 때 8학년과 9학년의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학습 역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작품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상황을 파악하기만 하는 데서 나아가, 이를 작중 인물인 부자와 양반 등의 행동과 연관지어 생각해 보게 하기도 하고, 작가인 박지원의 창작 동기와 결부시켜 보게도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생각해 볼 문제는 비록 문학 작품과 그것이 담고 있는 사회․문화적 상황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는 것이 문학 작품의 수용과 감상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이것이 이 10학년 국어 (하) 교과서에서, 그것도 하필이면 이 대단원 속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냐는 점이다. 앞서 7, 8, 9학년이라는 세 개 학년에 걸쳐 대동소이한 성취기준을 통해 반복 학습된 내용을 굳이 10학년에서 다시 다루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학제상 중학교에서 다루어진 내용이라 할지라도 상급 학교인 고등학교에 와서 다시 한 번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인정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기준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 대단원의 구성에 대해서는 문제를 삼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 정도로만 언급하기로 하고, 이어지는 항목들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해 자세하게 고찰해 보도록 하자.

2. 대단원의 내적 일관성
2.1. 대단원의 목표와 성격
앞서 살펴 본 각 소단원의 학습목표와 이에 반영된 교육과정에 따르면, ‘2.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약속’ 단원은 크게 쓰기와 읽기 영역, 그리고 문학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쓰기 영역에 해당되는 식사문 쓰기에 대한 학습은 ‘말하기를 준비하기 위한 글’이라 할 수 있는 식사문의 유형적 특성으로 인해 말하기 영역과도 깊이 관련된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결국 본 대단원은 전체적으로 문학 영역을 학습하기 위한 단원이라기보다는 언어 기능 영역의 학습에 목적을 둔 단원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원의 성격은 [단원을 열며]를 통해 더욱 구체화된다.

단원을 열며
다양한 사람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를 위해서는 평화, 평등, 자유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는 가운데,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약속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여러 사회에서는 이와 관련된 사항을 협의하고, 규약을 정하여 따르고 있다. 사람들이 정한 규약은 더불어 사는 삶의 기초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 단원에서는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약속과 관련된 글을 읽고, 함께하는 삶에 대해 생각해 보자. 그리고 식사문의 특성을 이해하고 식사문을 써 보는 활동, 규약문의 특성을 이해하고 규약의 내용이 공정하고 합리적인지 판단하는 활동을 하면서 학습목표를 성취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