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

 1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1
 2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2
 3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3
 4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4
 5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5
 6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6
 7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7
 8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8
 9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9
 10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10
 11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국문학] 유행어와 신조어를 통해 본 사회 현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행어와 신조어의 개념

1.1. 유행-어 流行語

1.2. 신어 新語

2. 유행어와 신조어의 예

2.1. 문화와 관련된 유행어들

2.2. 단순한 언어적 파생어

2.3. 줄임말

2.4. 정치적, 지역 감정적 신조어

3. 유행어와 신조어의 생성과정

3.1. 신어의 생성 과정

3.2. 유행어의 변천사 (시대별 정리)

3.3. 신어의 유포: 인터넷 소통의 직접성

3.4. 신어, 유행어의 소멸 - 참신성이나 정확성 없으면 소멸

4. 이를 통해 바라본 사회현상

4.1. 유행하다 사라진 단어들

4.2. IT의 발달

4.3. 약해지는 한자, 드세지는 영어
- 최근 신조어 재료, 한자 위상 약해지고 영어는 세력 확장

4.4. 사회의 거울 역할을 하는 언어- 시대 전반적인 분석

5. 유행어와 신조어 사용의 장점과 단점

5.1. 신어의 효과-언어의 ‘외부’ 발견

5.2. 신어 속출로 신구세대 대화 불통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최근 신어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는 말을 줄인 축약어가 많다는 점이다.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 흔히 엄마가 자신의 자녀와 비교하는 모범적인 인물), '듣보잡'(듣도 보도 못한 잡놈), '쩍벌남'(지하철 좌석에서 다리를 벌린 채 앉은 남자 승객), '솔까말'(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등이 그런 예다. 심지어 요즘 아이들은 엄마가 차려준 밥을 먹고나면 '잘먹'(잘먹었습니다)이라고 외친다. 특히 과거엔 한자어에서 주로 이런 축약이 일어나고 순우리말에선 드물었던 반면 최근엔 순우리말에서도 이런 일이 활발해졌다. 또 한자어 축약어는 명사를 줄였던 반면 순우리말이 들어간 축약어는 문장이나 구(句)가 줄어든 경우도 많다. '볼매'(볼수록 매력 있다)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김떡순'(김밥.떡볶이.순대) 등이 그런 축약의 예다. 조남호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은 "한자어뿐 아니라 고유어와 외래어를 섞어 기관의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말이 길어지다 보니 줄일 필요가 생겨서 순우리말 축약어가 늘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뿌리가 다른 말끼리 합쳐져 새로운 단어가 되는 합성어, 즉 혼종어도 늘고 있다. 다시 말해 과거엔 '순우리말+순우리말' 또는 '한자어+한자어'나 '외래어+외래어'의 조합이 자연스러웠지만 '순우리말+한자어' 또는 '순우리말+외래어' 조합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새집증후군', '공갈젖꼭지', '땅콩보트', '목폴라', '올챙이송', '당근송', '솔로부대', '셀카족', '유아틱', 시골틱', '디지털화', '슬림화' 같은 단어들이 그 예다.

3. 유행어와 신조어의 생성과정

3.1. 신어의 생성 과정
-자연 발생적인 것
새로운 대상이나 개념에 대한 명명
-인위적인 것
국어 순화 등 언어 정책적 차원의 명명
참고문헌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신어와 언어의 ‘밖’ -언어 주체의 다양성과 의미 설정을 중심으로: 김진해, 경희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신어의 정착과 낱말 용법의 변화: 이기황, 연세대학교 BK21 한국 언어·문학·문화 국제인력양성 사업단 박사 후 연구원

연합뉴스 ①~③
연합 뉴스
국민 일보 얼짱·몸짱·S라인→꿀벅지·황금골반·초콜릿 복근… 신조어 ‘신체 부위’로 이동
이투데이 취업관련 유행어 중 현실 반영1위는 '이태백'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올해의 유행어 `된장녀`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