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

 1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1
 2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2
 3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3
 4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4
 5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5
 6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당]경당의 성격, 경당의 교육적 의의, 경당의 교육 내용, 경당의 입학자격, 경당의 활동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경당의 성격

Ⅲ. 경당의 교육적 의의

Ⅳ. 경당의 교육 내용

Ⅴ. 경당의 입학자격

Ⅵ. 경당의 활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太學이 관학임에 비하여 사학의 시초라 할 수 있는 扃堂이 있었다. 扃堂에 대한 기사를 수록한 서적으로는 旧唐書, 新唐書를 들 수 있다.

俗愛書籍至栓衡門廝養之家名於街衢造大屋
謂之扃堂子弟未婚之前晝夜於此讀書習射其書有
五經及史記漢書范曄後漢書三國志孫盛普春秋
玉篇學統學林又有文選大愛重之

人喜學 至窮里廝家 亦相矜勉 衢側悉構嚴屋
號扃堂 子弟未婚者 曹處 誦經 習射

이상의 기록으로 보아 미혼 자제의 신분은 衡門廝養 또는 窮里廝家라는 용어로 미루어 귀족이라기보다는 평민 신분임을 짐작할 수 있고, 窮里라는 말로서 扃堂의 위치는 지방 촌락임을 알 수 있으며 추측하건대 지방성 관리의 자제들도 함께 수학하였을 것이다. 이는 당시 사회의 높은 교육열을 엿볼 수 있는 단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扃堂은 본래 고구려 사람들의 풍습이 書籍을 사랑하며 민가나 목축업자의 집도 각각 마을에 큰집을 지어서 만든 학교이며 扃堂의 정도는 마치 서양 중세의 수도원 학교나 승원 학교와 같이 초등학교 정도로부터 대학 정도까지를 겸한 학교였고(한기언, 1983 : 13), 일반 평민과 지방 부호의 미혼 자제들이 입학하였다. 또한, 太學의 교육 내용과 일치하는 것이 많이 나타나는바 太學과 마찬가지로 문무 일치의 교육이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진단학회, 1981 : 569).
참고문헌
▷ 이기백(1967), 고구려의 경당, 역사학보 35, 36 합집
▷ 이문원(1983), 고구려의 교육기관, 서울 : 중앙대학교『논문집』제27집
▷ 조선 일보사, 아! 고구려, 조선일보
▷ 전호태(1999), 고구려벽화로 본 고구려이야기, 풀빛
▷ 진단학회(1981), 한국사 고대편, 서울 : 을유문화사
▷ 한기언(1971), 한국교육사, 서울 : 박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