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

 1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1
 2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2
 3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3
 4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4
 5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5
 6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6
 7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7
 8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8
 9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9
 10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 교육의 역사적 기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교육
1) 원시시대 교육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교육
5) 19세기 중엽
6) 일제강점기
7) 1945년 08월 15일 광복 후
8)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교육

2. 서양교육
1) 그리스와 로마 교육
2) 중세교육
3) 근대 교육

3. 현대교육
1) 20세기의 교육
2) 현대교육의 전망

본문내용
1. 한국교육

1) 원시시대 교육
- 원시시대 : 교육기관이 있지는 않았을 것. 현장이 교육.
사회가 후손에게 요구하는 바를 가르침.
(사회적 아버지가 사회적 아들에게, 사회적 어머니가 사회적 딸에게.)
⇒ 반드시 육친이 아니더라도 연장자가 연소자에게 필요한 것들을 가르침.

- 원시시대 교육의 특징
: 집단적이고 실제적임 ⇒ 한 개인을 가르친다기보다 성인층이 미성숙자들을 훈련
예) 외적으로부터 부족을 방어하기 위해서 → 단결력 필요
→ 단결력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의식을 통한 사상 통일 필요
→ 실생활과 직결된 교육 → 현대의 학교교육보다 실제적

- 원시시대의 교육적 상황에서 볼 수 있는 교육원리
① 생존을 위한 절실한 필요에서 이루어짐 : 교육내용의 타당성, 적합성의 원리
⇒ 교육적 필요와 교육내용 간의 일치도가 높음
(생활에서 필요성이 높은 것일수록 중요한 교육내용이 되므로) ⇒ 교육목적 뚜렷

② 학습동기의 원리 : 지식이나 기술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분명
(배우지 못하면 생존이 힘들어지고 질병과 고통에서 벗어나기 힘듦)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 습득 → 생존력 상승 → 학습동기유발

③ 낭비없는 학습의 흐름 유지 : 필요와 흥미에 의해 학습이 시작되므로 학습시간에 유연성


2) 삼국시대 : 삼국시대 초기 학교교육이 성립되었다는 기록 없음.

(1) 고구려 : 고구려에서 국초에 비로소 문자를 사용 기록존재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으로 학교교육 발달

① 태학의 설립 (제 17대 소수림왕 2년(373년)) : 학교교육의 시작
- 교육사적 의의 : 우리나라 기록에서 볼 수 있는 학교교육의 시초, 한국 유학의 기원
- 설립 목적 : 관리의 양성 → 상류계급의 귀족자제들이 입학함
- 교육내용 : 유교의 경전인 오경과 삼사가 주류
- 고등교육정도의 관학

② 경당 : 사학의 시초, 초등교육에서 고등교육까지를 겸한 사학
- 입학자격 : 일반 서민자제와 지방 호족의 미혼 자제들
- 교육내용 : 독서와 습작, 통경과 습사를 함께하는 문무일치의 교육

(2) 백제 : 학교를 세웠다는 기록은 없으나 여러 가지 사료를 통해 고구려 보다 앞서서 학교
교육이 성립되었을 것으로 짐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