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

 1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1
 2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2
 3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3
 4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4
 5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5
 6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6
 7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7
 8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8
 9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9
 10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10
 11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11
 12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12
 13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13
 14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개론]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재적 발전론
2. 식민지 근대론
3.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반박

Ⅲ. 결론

본문내용

(3) 인력의 성장

1933년 조선식산은행은 조선에서 공업, 광업, 교통, 건설, 기타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수가 약 21만 4천 명이라고 보고했다. 10년 후인 1943년 도쿄에서 열린 제 85회 제국의회에서 총독부는 위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수는 이보다 800퍼센트 이상 증가한 175만 명이라고 보고했다. 이들 중 거의 40만 명은 공업 부문에 종사했으며, 그들 대부분은 조선인들이었다. 전시체제 이전인 1936년에도 일본인 노동자 수는 전체의 11퍼센트를 조금 상회하는 정도였고, 1943년에는 약 7퍼센트로 낮아졌다. 이처럼 1930~40년대의 전쟁과 공업화는 조선인들을 논에서 쫓아내 도시와 공장으로 보내는 데 확실히 효과적이었다 카터 j.에커트, 〈식민지 말기 조선의 총력전·공업화·사회 변화〉,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책세상, 2006
고 볼 수 있다. 물론 그들이 미숙련공이었다고 할지라도 어쨌든 농민의 세계에서 벗어난 존재였으며, 숙련 노동자로 성장할 가능성과 기회는 열려 있었다. 따라서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은 일제의 전시체제 하에서 조선의 노동력은 양적·질적으로 모두 성장했다고 볼 수 있으며,기존의 연구처럼 ‘민족적 차별’만을 강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4) 소득과 분배

식민지 근대화론에서는 낙성대경제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1912~1937년의 27년간 1인당 소득이 연 2.3%, 1인당 소비는 1.9% 성장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당시 다른 세계 각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며, 식민지 시기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 국면, 곧 근대 경제 성장에 돌입했음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주익종, 〈식민지 시기의 생활수준〉,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책세상, 2006
는 것이다. 또한 소득의 민족별 배분 문제에 있어서도, 전체 평균 소득이 증가하는 가운데 조선인 1인당 소득도 증가한 것이 확실하며, 따라서 기존의 수탈론 입장처럼 민족 간 배분은 극단적으로 악화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참고문헌


강만길 외, 『한국사 23 한국사의 이론과 방법1』, 한길사, 1994
강만길 외, 『한국사 33 조선 후기의 경제』, 한길사, 2003
강만길 외, 『한국사 34 조선 후기의 사회』, 한길사, 2003
김태영 외, 「한국자본주의의 맹아문제에 대하여」, 『한길 역사 강좌 5, 한국의 사회경제사』, 한길사, 1987
역사교육연대회의, 뉴라이트 위험한 교과서 바로 읽기, 2009, 서해문집
허수열, [학술식민지근대화론]일제시대_개발은_'개발_없는_개발', 2005
정연태, ‘식민지근대화론’_논쟁의_비판과_신근대사론의_모색, 1999
신용하, ‘식민지근대화론’_재정립_시도에_대한_비판
조석곤, 식민지_근대화론_연구성과의_비판적_수용을_위한_제언
조석곤, 식민지근대화론과_내재적_발전론_재검토
홍성찬, 식민지근대화론의_역사인식_해부_-『한국의_식민지적_근대_성찰-근대주의_비판과_평화공존의_역사학_모색』, 2007
정연태, 특집1__식민지근대화론을_비판한다_1930년대_일제의_식민농정에_대한_재검토
송규진 외 3명, 통계로 본 한국 근현대사, 2004
박지향 외,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교과서포럼,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이대근,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나남출판,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