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

 1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1
 2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2
 3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3
 4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4
 5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5
 6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6
 7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7
 8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8
 9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국문학] 염상섭 채만식 비교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염상섭
1) 염상섭의 사상
2) 작품에 나타난 염상섭의 사회인식
2. 채만식
1) 채만식의 사상
2) 작품에 나타난 채만식의 사회인식
3. 염상섭과 채만식의 사상과 작품에의 반영 비교

Ⅲ. 나오며
본문내용
(3) 효풍 「효풍」(1948). 젊은 남녀 주인공 혜란과 병직을 중심으로, 미국이란 외세의 영향력이 강화되며 민족 자결성이 위기상황에 봉착한 환경 속에서, 돈을 벌어 출세하려는 인간과 민족의 운명을 개척하는 인간 등 인간군상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 여러 인물상을 통해 모색한 주체적 민족의식
남자주인공 박병직은 한동안 좌익 내지 이북이나 소련을 지향하는 듯한 자세를 보이다가 민족 주체의 입장으로 되돌아온다. 여주인공 김혜란 역시 일시적이나마 미국인 베커 내지 미국을 선호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다가 민족 주체의 입장으로 돌아오고, 결국 두 사람은 이념적으로나 애정 면에서 완전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들뿐만 아니라 좌익으로 기울었지만 표면적으로는 모든 사상을 다 포용한 듯한 중립파인 조정원, 좌우익 양비론, 찬미주의, 초월주의 등의 태도를 보이는 중립주의자 김관식 등 중립파의 여러 얼굴을 찾아볼 수 있다. 조남현, 「1948년과 염상섭의 이념적 정향」, 『한국현대문학연구 제6집』, 월인, 1998. 하반기 , p.308

이 작품이 발표된 1940년대 후반 당시 미국과 소련의 서로 상반된 정치적, 이념적 압력과 영향으로 큰 혼란을 빚고 있던 한반도의 상황에서, 자신의 주체를 어떻게 확립하느냐는 것은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였다. 작자는 등장인물들의 행보를 통해 좌익이냐 우익이냐, 혹은 민족이냐 계급이냐를 따지기보다 민족 주체의 확보를 더욱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 채만식
1) 채만식의 사상
채만식은 1920년대 말엽에 크로포트킨과 마르크스를 탐독하면서 사회주의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구해가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가 사회주의 사상에 경도되었다고 해서 당시 문단 최대 집단이었던 카프에 동참하거나 적극적으로 작품에 이데올로기를 표현했던 것은 아니다. 채
참고문헌
※ 참고문헌

단행본
권영민, 「염상섭의 민족문학론」, 『한국문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86.
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김윤식 편, 『해방공간의 민족문학 연구』 , 열음사,1989.
김재용, 『해방 직후 자전적 소설의 네가지 양상』, 중앙일보사, 1995.
이선영, 「주체와 욕망 그리고 리얼리즘」,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1998.
채만식, 「창작의 태도와 실제」, 『채만식전집10』, 창작과비평사, 1989.
채만식, 「레디메이드 인생」, 『채만식선집』, 어문각, 1979.
채만식, 「민족의 죄인」, 『백민(白民)』, 1948.10, 1949.1.
최유찬, 『문학의 모험 -채만식의 항일투쟁과 문학적 실험』, 역락, 2006.

논문
김재영, 「회고를 통해 보는 총력전 시기 일제의 사상관리」, 『한국문학연구 제33집』, 동국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 2007.
김지영,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0집』, 한국현대문학회, 2010.
김형수, 「채만식, 친일협력과 자기비판의 논리」, 『창원대학교 인문논총 제12집』,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박상준, 「〈민족의 죄인〉과 고백의 전략」,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7집, 한국현대문학회, 2009.
이동하, 「이광수와 채만식의 해방기 작품에 대한 연구」, 『배달말 16』, 배달말학회,1991.
이성진, 「『삼대』와『태평천하』의 비교 연구 :인물의 성격과 작가의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2005
이춘우, 「채만식 소설 연구:사상성과 형상화 문제를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제28집』, 겨레어문학회,2002.
임명진, 「蔡萬植의 '近代' 인식과 '친일'의 문제」, 『국어국문학회지 제129호』, 국어국문학회, 2001.
조남현, 「1948년과 염상섭의 이념적 정향」, 『한국현대문학연구 제6집』, 월인, 1998.
최진옥, 「해방 직후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23집』, 한국현대문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