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

 1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1
 2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2
 3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3
 4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4
 5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5
 6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6
 7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7
 8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8
 9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론] 피동문과 사동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피동문

1. 정의

2. 통사적 특성

3. 능동문과의 차이점과 공통점

4. 피동문의 의미 특성

5. 피동문의 유형

6.목적어가 있는 피동문

7.능격 표현

Ⅱ. 사동문

1. 정의

2. 사동문의 통사적 특성

3. 사동문의 유형과 의미

4. 사동사에 의한 사동문과 ‘-게 하다’에 의한 사동문의 차이


본문내용
4. 피동문의 의미 특성
⑴피동문은 피동작주에 초점이 가게 되어 탈동작성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이 된다. 탈동작성이란 문장에서 동작주에 의해 나타나는 움직임이 잘 드러나지 않음을 지칭하는 말인데 능동문에서 동작주 주어 명사구가 피동문에서 부사어 명사구가 되면서 동작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이다.
⑵탈동작성의 결과 대응되는 능동문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⑶수량을 나타내는 구문
-능동문과 피동문의 의미 특성과 관련하여 수량을 나타내는 구문에 대해서도 언급할 필요가 있다.
5. 피동문의 유형
⑴피동사에 의한 피동문
-피동사에 의한 피동문은 가장 전형적인 피동문으로 알려져 왔다. 피동사에 의한 피동문은 능동인 타동사 어간에 피동의 접미사 ‘-이/히/리/기-’ 등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파생 피동사가 서술어로 참여하는 문장이다.
▷언니가 동생을 업었다.
▷동생이 언니에게(언니한테) 업히었다.
⑵‘-어지다’에 의한 피동문
①‘-어지다’에 의한 피동문은 타동사뿐 아니라 자동사나 형용사에 ‘-어지다’가 결합한 서술어가 사용되는 피동문이다.
‘-어지다’에 대해 접미사로 보는 견해, 보조동사로 보는 견해, 타동사에 결합하는 경우는 접미사로 보고 자동사나 형용사에 결합하는 경우는 보조동사로 보는 견해, 동사에 결합하는 경우는 합성동사의 후행 요소로 보고 형용사에 결합하는 경우만 보조동사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학교문법서들에서는 ‘-어지다’를 보조용언의 하나로 다루고 있지만 띄어쓰기는 ‘-어 지다’가 아니라 ‘-어지다’로 하고 있어 접미사와 같은 취급을 하고 있다.
(별반 큰 제약이 없이 거의 모든 동사에 쓰임.)
▷철수가 그의 오해를 풀었다.
▷그의 오해가 철수에 의해 비로소 풀어졌다.
→‘-어지다’는 자동사, 타동사, 형용사에 모두 붙을 수 있고 ‘밝혀지다’와 같이 타동사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