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

 1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1
 2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2
 3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3
 4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4
 5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5
 6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6
 7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7
 8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8
 9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9
 10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10
 11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11
 12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12
 13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13
 14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대사] 신간회의 역사와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신간회의 배경
1) 자치론의 대두
2) 자치운동
3) 민족운동의 분열
3)-1 민족운동의 분열
4) 신간회 창립 과정
4)-1 신간회 창립 과정
3.신간회의 결성 -1)
신간회의 활동 -2)
4.신간회의 해소
5.신간회의 의의

본문내용
1.신간회의 배경
자치론이란 ? 일제의 통치를 인정한 상태에서 자치의회의 구성, 내정독립을 위한 운동을 하여 조선의 자치를 획득하자는 논리

자치론자들의 주장
- 즉각적인 독립이 불가능하므로 민족운동의 방향을 현실 가능한
정치운동으로 전환하자.

"조선 민족은 지금 정치적 생활이 없다. 아마 2천만에 달하는 민족으로
전혀 정치적 생활을 결한 자는 현재 세계의 어느 구석을 찾아보아도
없을 것이요, ...(중략) 우리는 조선 내에서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일대
정치적 결사를 조직하여야 한다는 것이 곧 우리의 주장이다."
[동아일보], 1924.1
⇨'정치적 결사를 조직'한다는 것은 대표를 뽑아 일본에 보내 자치권을
얻으려는 행동이다.

1.신간회의 배경 – 2) 자치운동

1920년대 일제강점기의 문화·정치 국면에서 전개된 민족개량주의 세력의 정치운동

① 첫 번째 자치운동(1923~1924)
-천도교 신파의 최린, 동아일보사의 김성수와 송진우 등에 의하여 추진
-이광수 [민족적 경륜]을 통해 자치운동의 필요성 강조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발로 실패
② 두 번째 자치운동(1925~1927)
-천도교 신파와 동아일보계는 연정회 결성을 계획
-비타협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대로 좌절
-신간회를 결성하는 직접적인 계기를 제공
③ 세 번째 자치운동(1929~1932)
-천도교 신파와 동아일보계는 총독부측과 교류하면서 자치제 실시에 대비
-신간회 내부에서도 자치운동으로의 방향전환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대두
-일본 정부가 자치제를 포기하고 지방제도의 개정이라는 미온적인 선택을
취함으로써 무산
참고문헌
(주)금성출판사 한국근.현대사 고등학교 교과서
태건 근현대사 교과서
7급시험대비 대한국사
철학사전, 임석진 외 편저, 2009
《지배자의 국가/민중의 나라》, 돌베게, 서중석 지음. (2010년)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역사 3》 p240~ p245,
역사문제연구소 저.
좌절된 좌우연합의 꿈, 흩어져 맞은 독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