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

 1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1
 2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2
 3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3
 4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4
 5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5
 6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제7장 교육의 기능과 사회 병리현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의 기능
1)교육의 기능

2)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1.긍정적인 기능

2. 부정적인 기능

3. 교육의 현재적 기능과 잠재적기능

[2] 교육병리의 접근방법
1)교육의 병리현상
2) 아노미 상황과 개인의 적응행동

[3] 사회적 병리현상

1) 육체적병리와 사회적 병리

2)사회적 병리의 범위

3) 사회적 병리현상과 교육병리

4)병리현상의 발생과정

본문내용
2)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1.긍정적인 기능
-경제적 측면: 진학률 상승으로 인해 노동자가 질적으로 향상되어 경제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교육의 경제 효과).
-정치적 측면: 개발학과 관련하여 문해율의 상승이 민주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문해율과 민주화 사이의 상관은 일반적으로 생각보다 높지 않고 오히려 그 반대되는 경우도 있다. 문해율과 민주화가 정적(正的) 관계일 것이라는 생각은 서구 시민사회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있다.
-사회적 측면: 교육의 보급이 남녀평등 또는 사회계급의 평등에 기여한다는 견해나, 교육 수준의 상승이 유아 사망률을 낮추거나 위생 상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는 견해 등이 있다.

2. 부정적인 기능
-미셸 푸코: 학교를 군대, 병원, 감옥 등과 같이 근대 특유의 권력 장치라고 보았다.
-루이 알튀세르: 학교 교육이 근대사회에 지배적인 국가의 이데올로기 장치라고 보았다.